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5·18 이후 암매장지 수색해 시신 발굴' 계엄군 작전일지 공개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5·18 이후 암매장 수색, 시신 발굴' 계엄군 작전일지


전교사 작전일지 '20사단 61연대, 6월초 가매장 예상지역 수색 결과'

"다시 광주 내려와 가매장지 발굴" 11공수 간부 증언과 시기·임무 일치

【광주=뉴시스】 배동민 기자 = 1980년 5월 열흘간의 학살(18~27일) 이후 계엄군이 광주에서 가매장지(임시매장지)에 대한 수색 작업을 벌였다는 군 내부 문건이 공개됐다.

그해 6월, 제11공수부대가 광주에 다시 내려와 가매장지 발굴 작업을 전개했다는 증언과 함께 계엄군이 5·18민주화운동 이후 광주 곳곳에서 '암매장' 수색 작업을 벌였다는 것을 입증하는 문건이다.

행불자 신고만 400건이 넘는 상황에서 5·18 암매장과 관련된 군 기록을 공개하고 이에 대한 대대적인 재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1일 뉴시스가 입수한 전교사 작전일지에는 1980년 6월2일 오후 6시40분 '가매장 예상지역 수색 결과'가 보고돼 있다.

20사단 61연대 수색대대가 같은 날 오후 2시30분 주답(주남)마을에서 시체 1구를 발견했다는 수색 결과가 담겨 있다.

'최초에 통일화를 발견 주위를 파본 결과 시체 1구를 발견하였으나 많이 부패되어 더 이상 파보지 못하고 가매장', '시체상태 : 많이 부패 되어 있음'이라는 내용도 첨부돼 있다.

군이 5·18 이후 광주에서 가매장 예상지역 수색을 벌였으며 시신을 발굴했다는 것을 입증하는 공식 문건이다.

3·7·11공수가 광주에서 철수한 뒤 6월27일까지 주둔하며 사실상 광주항쟁의 뒤처리를 맡았던 20사단이 '어떤 임무를 받고 어떤 활동했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또 이 문건은 '80년 6월 광주에 다시 내려가 가매장지 발굴 작업을 전개했다'는 11공수 간부들의 증언이 사실일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뉴시스가 입수한 국방부 과거사진상규명위원회(2007년)의 '면담보고서'에서 김효겸 제11공수 62대대 4지역대 1중대 하사는 '광주에서 철수 후 국민대에 주둔할 때 62대대장 인솔하에 일부 병사들이 보병 복장을 하고 광주로 가서 가매장지 발굴 작업을 전개한 것으로 안다'고 증언했다.

김 하사의 증언 속에서 거론된, 5·18 당시 11공수 62대대장이었던 이제원 중령도 같은 조사에서 '광주에서 올라와 저의 대대는 국민대에 있고, 다른 대대와 여단은 경희대에 있었는데 여단에서 광주에서 사체를 가매장한 병력들을 전부 차출해 보내라고 해 보낸 사실이 있다'고 말했다.

5·18 당시 김 하사의 직속상관이었던 최규진 11공수 62대대 4지역대장도 같은 해 5월31일 검찰에서 '정원각이 광주에 내려간 시기는 어떠하며 사체를 발굴하고 왔다고 하던가요'라는 질문에 '저희가 국민대에 올라간 것이 5월29일 경인데 그로부터 1주일이 채 못 된 시기였으니 6월초로 기억이 된다'라고 답했다.

이어 '당시 여단에서 병력들을 전체적으로 인솔하고 광주로 내려갔는데 저의 기억으로는 정원각이 발굴하고 왔다고 저에게 보고를 한 것 같은데 정확한 기억은 없다'고 진술했다.

정수만 전 5·18유족회장은 "20사단과 11공수가 가매장지 수색에 나선 시기가 6월초로 동일하다"며 "'가매장'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지만 같은 시기, 같은 임무를 받고 광주에서 사실상 '암매장 수색'을 벌인 것"이라고 말했다.

6월 초, 광주에는 7공수도 주둔하고 있었다. 7공수는 6월5일 광주에서 철수한 것으로 기록돼 있지만 일부 병력은 중순까지 광주에 남아 항쟁 뒤처리를 맡았다는 증언이 있다.

7공수 군의관이었던 위계룡(1953년생)씨는 '추후 (민간인 학살 후)암매장 부분이 문제가 될 소지가 크니 상부에 즉각 신고(보고)하라'는 지시가 내려왔다고 증언했다.

이 명령에 따라 20사단 61연대와 11공수가 광주에서 수색 작업에 나섰을 가능성도 있다.

정 전 회장은 "계엄군의 암매장 발굴 조사는 그 만큼 광주에서 많은 학살을 저질렀다는 것"이라며 "하지만 계엄군이 6월, 광주에서 어떤 일을 했는지 행적은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군의 특성상 반드시 지시를 내린 기록과 임무를 마친 뒤 보고기록이 남아 있을 것"이라며 "아직까지 공개하지 않고 있는 군 기록을 모두 공개하고 이에 대한 면밀한 재조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행방불명자들과 관련된 진실이 규명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현재까지 광주시에는 행방불명자 신청 448건(중복 포함)이 접수됐다. 시는 82명을 공식 행방불명자로 인정하고 있으며 이 중 6명 만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시신을 찾았다.

guggy@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