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중국 따라하던 인도·인도네시아·필리핀 경제 직격탄 맞나

댓글 5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미국 연방준비제도 보유 자산 축소 계획에

인프라 확충 포퓰리즘으로 당선된 지도자들 부담

자산 기반 부실·수출산업 협소·화폐 가치 하락세



한겨레

중국의 경제성장 모델을 모방해 대대적인 인프라 확대를 약속하며 대통령·총리 자리를 꿰찬 필리핀·인도네시아·인도 등 아시아 3개국 지도자 앞에 비관적 전망이 드리우고 있다. <블룸버그 뉴스>는 23일 아시아의 떠오르는 시장으로 꼽히는 이들 국가의 지도자들이 인기영합주의(포퓰리즘)를 따르며 쏟아낸 공약이 지난 6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보유자산 축소계획 발표와 맞물려 부담으로 되돌아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들 3개국은 중국처럼 대대적인 인프라 확충을 통해 내수를 증진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은 올해 국내총생산(GDP) 중 인프라 투자 비율을 5%대에서 7%대로 올리겠다고 밝혔다. 조코 위도도(조코위) 인도네시아 대통령도 지난 16일 72주년 독립기념일 연설에서 “도로 7000㎞를 새로 정비하고 신공항 4곳을 건설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올해 회계연도 안에 600억달러(약 67조8천만원)를 인프라 확장 비용으로 사용하겠다고 공언했다. 하지만 이 국가들 모두 중국과 달리 국내 자산 기반이 부실하고 수출 산업 또한 협소하다는 약점이 있다.

아시아 3개국은 높은 경제성장률을 무기로 투자를 유치했고 공격적 행보를 보였다. 아시아개발은행은 2030년까지 이들 국가를 포함한 아시아 신흥국들이 수도와 위생 설비, 전력과 수송망 확충을 위해 무려 26조달러를 투입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연준의 보유자산 축소가 현실화되면 금리 상승 효과로 정부가 받는 압박이 거세질 전망이다. 예컨대 땅을 파고 시멘트를 부으려면 중장비를 수입해야 하고, 수입이 늘면 경상수지는 악화된다. 인프라 확장이 정부 예산을 압박하면서 외국에서 들어오는 현금 투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악순환 고리가 이어진다. 메이뱅크킴응의 추아학빈 수석이코노미스트는 “변동성이 높은 해외 자본 흐름과 환율 리스크에 더 민감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외환시장에는 이미 조짐이 일었다. 필리핀 페소화 가치는 올해 3%가량 떨어져 아시아국 주요 통화 중 가장 낙폭이 크다. 인도네시아 루피아화와 인도 루피화 또한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블룸버그>는 필리핀이 올해 15년 만에 처음으로 경상적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필리핀 정부는 세제 개혁을 추진해 자금을 확보하려 하지만 의회가 승인하지 않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조코위 대통령 또한 건설 붐을 일으켜 2019년 재선의 동력으로 삼으려 하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게 될지는 불확실하다. 인도네시아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5.4%로 여전히 높지만 조코위 대통령의 목표였던 7%에는 상당히 못 미친다. 무디스 투자서비스는 “인도 정부의 부채 수준은 이 국가들 중에서도 상당히 높다”며 “성장이 둔화되고 있고 불투명한 정책이 많아 불안정하다”고 분석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 페이스북]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