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트럼프 '아프간 진격'에 러·이란·중국 좌불안석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키스탄 같은 지탄 피했으나 이해관계 탓 초조

러·이란 탈레반 지원설…무임승차해온 중국도 뜨악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아프가니스탄 전쟁과 관련, 미흡한 국제사회의 공조를 탓하며 파키스탄에 압박 강도를 높이고 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AP=연합뉴스]



그러나 트럼프의 이런 맹공 앞에 오히려 그가 언급하지 않은 러시아, 이란, 중국이 좌불안석이라고 미국 워싱턴포스트(WP)가 2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1일 아프간에 대한 추가 파병 계획을 밝히며 파키스탄을 단도직입적으로 지목해 탈레반 반군의 '피난처'라고 맹비난했다.

그는 파키스탄이 아프간 수도 카불에서 탈레반을 축출, 정치적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압박하지 않는다면 응분의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런 트럼프의 발언으로 아프간에 다시 한 번 전운이 감돌자 러시아, 이란, 중국이 불안한 기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들 세 국가는 아프간에 큰 이해관계를 갖고 있지만, 그동안 아프간 안보를 위해 적극적 역할을 떠맡는 것을 꺼려왔다.

특히 러시아와 이란이 아프간 반군조직 탈레반에 상당량의 무기를 제공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면서 미국은 이들 국가를 아프간 안정을 해치는 문제 국가로 여겨왔다.

연합뉴스

러시아제 무기를 자랑하고 있는 탈레반 대원들
(서울=연합뉴스) 미국 CNN방송이 러시아가 아프가니스탄 반군 조직 탈레반에 상당량의 무기를 공급해온 정황이 포착됐다며 단독 입수한 2개의 동영상을 25일(현지시간) 공개했다. 그동안 미국과 아프간 정부 관계자들은 러시아가 아프간 내전에 개입해 탈레반에 무기를 지원하고 있다는 의혹을 수차례 제기했지만, 이를 증명할 동영상이 공개된 것은 처음이라고 CNN은 설명했다. 사진은 러시아제 무기를 자랑하고 있는 탈레반 대원들. 2017.7.25 [CNN 캡처=연합뉴스]



이에 이번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파키스탄이 아닌 아프간 전쟁을 심화시킨 다수 국가를 통칭한 것일 수도 있다는 해석도 나왔다.

특히 작년 대선개입 해킹 사건 등으로 미국과 껄끄러운 사이가 된 러시아가 이번 트럼프의 발언에 가장 민감할 수밖에 없는 처지다.

앞서 미국과 아프간 정부 관계자들은 러시아가 아프간 내전에 개입해 탈레반에 무기를 지원하고 있다는 의혹을 계속해서 제기해왔다.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부 장관이 올해 초 아프간을 방문하자 존 니컬슨 아프간 주둔 미군 사령관이 "러시아가 탈레반에 상당량의 무기를 공급함으로써 15년째 이어져 온 아프간 내전을 더욱 꼬이게 하고 있다"고 주장한 것이 대표적 예다.

미국 언론 CNN방송도 탈레반 대원들이 러시아 정부가 무기를 제공했다고 주장하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을 공개하며 러시아와 탈레반의 유착 의혹에 힘을 실어줬다.

하지만 러시아는 극단주의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 격퇴 노력의 하나로 탈레반과 접촉했을 뿐이라며 무기 공급 사실을 강하게 부인해왔고, 이에 이번 트럼프 발언이 더욱 뼈아프게 다가왔을 것이라고 WP는 전했다.

아프간을 자국의 세력권으로 보고 있는 이란도 트럼프의 발언에 깜짝 놀라기는 마찬가지다.

이슬람 시아파 맹주국인 이란은 수니파 무장세력인 IS의 확대를 막기 위해 탈레반을 지원하고 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테러가 발생한 호메이니 영묘 [AP=연합뉴스]



IS는 지난 6월 이란 국회의사당과 성지 이맘 호메이니 영묘에서 총기·폭탄 테러를 벌여 13명을 숨지게 한 바 있다.

이에 IS 타도라는 공동의 목표를 위해서 이란은 탈레반과의 협력이 필요하고, 이런 점에서 탈레반은 이란에 적이 아닌 하나의 대리 군대일 뿐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러시아와 이란만큼은 아니지만, 중국도 아프간에 어느 정도 이해관계를 갖고 있다.

아프간 세 번째 무역상대국인기도 한 중국은 특히 아프간의 천연자원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중국이 추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를 위해선 중동과 아시아를 잇는 길목인 아프간의 협력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런 경제적 이해에도 중국은 아프간 안보 분야에서의 역할을 최소화한다는 원칙을 세우고 아프간에 대한 군사적 개입을 최대한 자제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중갈등(PG)
[제작 이태호, 최자윤]



이에 중국이 아프간 문제에서 미군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에 무임승차하고 있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됐다.

특히 중국이 대북 제재와 무역 분야에서 미국과 마찰을 빚고 있는 것을 고려할 때 이번 트럼프 아프간 발언은 중국을 우회적으로 견제하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WP는 "미국은 이들 세 국가가 아프간의 안정을 저해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트럼프의 아프간 파병 빛 파키스탄 비난 발언이 암묵적으로 이들 국가를 겨냥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vivid@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