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학교의 안과 밖]‘입시 흑역사’와 실패의 교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능 개편 시안이 발표되었다. 확정안을 두고 여론 수렴 절차가 진행 중인데 정부가 제시한 두 가지 시안을 둘러싼 논쟁 역시 뜨겁다. 입시 개편안을 두고 이렇게 여론이 끓어오르는 나라도 드문 것으로 안다. 그럼에도 건설적인 논쟁은 기대하기 어렵다. 교육 주체 간 이해관계가 첨예한 데다 입시제도의 반복적인 실패로 기대치도 낮기 때문이다. 그동안 입시 개편안은 급조된 후 실패하는 악순환을 거듭했다. 정부는 시험의 교육적 가치와 선발 기능이 지닌 사회적 의미를 우리 실정에 맞게 제도화하기보다 가시적 성과를 향해 밀어붙이기 일쑤였다. 그러다보니 속된 표현으로 ‘약발’이 통하지 않으면 그 정책은 표류하다 파기되었다. 실패가 거듭되면서 교육제도를 바라보는 시민의 기대치도 낮다. 이런 악순환을 막으려면 한국 현실에 맞는 입시 모델을 지속적으로 다듬어 나감과 동시에 정부의 방안에 맞게 교육 주체를 설득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경향신문

한국 교육정책 가운데 가장 큰 비극은 ‘열린 교육’이었다. 획일적 입시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창의성을 고양시키고자 도입된 혁신적인 방안이었으나 정작 시민사회에 전달된 설득의 논리는 ‘한 과목만 잘해도 대학에 갈 수 있다’였다. 열린 교육을 주도한 장관조차 그런 말을 한 적이 없다고 부인했음에도 자극적인 헤드라인의 파급효과는 컸다. 학습 부담을 급감시킬 수 있다는 기대와 한국의 입시 현실과 맞지 않다는 우려가 맞서며 여론은 충돌을 거듭했다. 안타깝지만 우려는 현실화되었다. 자율학습 폐지는 학습 부담을 경감시키기는커녕 부모의 사교육비만 늘렸고, 쉽게 내겠다던 수능은 해마다 난이도 조절에 실패해 불신을 심화시켰다. 이런 실패가 일부 언론의 가짜뉴스에 의해 빚어진 것은 아니다. 정치인과 관료들이 성과에 집착, 영국에서 자생적으로 성장한 교육방법을 한국적 배양 기간 없이 들여온 성급함이 원인이었다.

입시 흑역사에 입학사정관제 역시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학생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보고 선발한다는 도입 취지는 고액 캠프 활동, 자기소개서 미화를 위한 대필, 미신적인 입시 컨설팅 제도 등으로 이어졌다. 미국 대학 입시 모델을 단순 번역하다시피 들여온 이 제도는 아직도 학생부종합전형 어딘가에 숨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출범 초기, “미국 갔더니 오렌지(orange)를 ‘아륀지’로 읽더라”는 인수위원장의 발언이 구설에 오른 정권다운 제도였다. 유럽식 글쓰기를 교과 과정과 연계 없이 들여와 사교육비 상승의 주범으로 몰린 논술전형이나, 미국 수능처럼 절대평가를 시도하는 현 정권의 입시 개편 방안 역시 선진국의 제도를 추종하는 퇴행적 사고가 낳은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과거와 큰 차이는 없다. 학생들에게 창의성을 요구하면서 어른들은 외국 제도를 급하게 베껴온 셈이다. 지난 실패들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선진국 입시라는 강박에서 벗어나야 한다. 교육열이 높고 입시 경쟁이 치열한 한국 상황에 맞는 입시를 위해 우리만의 새로운 길을 걸어야 한다. 현실은 어렵다. 수능 난이도를 높여 변별력을 확보하라는 주장에 국민 70%가 동의한다. 이런 정서를 무시하기 어렵다. 그렇다고 과거로 돌아갈 수도 없다. 앞으로 나아가되 뒤에서 머뭇거리는 다수를 기다리는 신중함이 요구된다. 돌아가자는 이들에게 올바른 뜻으로 오라고 설득해 함께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정주현 | 논술 강사>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