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한·미 연합 을지훈련 돌입…한반도 긴장 다시 ‘분수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미 연합군이 21일 2017년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을 시작한다. 이번 훈련은 북한의 잇단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4’형 시험발사와 ‘괌 포위사격’ 위협 등으로 높아진 한반도 긴장 국면의 분수령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한·미 연합군은 훈련 기간 중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대북 감시·대응 태세를 강화하면서 훈련을 실시할 계획이다.

한·미 군 당국은 “훈련 규모는 예년과 변함이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20일 현재까지 미국 항공모함 전단이 한반도 주변에 파견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고 미군 참가 인원수도 산술적으론 지난해보다 줄었다. 북·미 간 긴장이 커진 상황에서 북한을 자극해 긴장을 더욱 고조시킬 수 있는 요소를 최소화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미군 각 항모들이 운영하는 페이스북 등 웹사이트를 보면 항모 칼빈슨호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 조지워싱턴호는 미국 버지니아주 뉴포트뉴스에, 로널드레이건호는 일본 도쿄 인근 요코스카에 정박 중이다. 유사시 한반도 인근 해역에 파견됐던 세 개 항모 전단이 모두 훈련 개시 하루를 앞두고 원거리에 정박 중인 셈이다.

미 국방부는 지난 18일 올해 UFG 참가 미군 병력은 해외 증원군 3000명을 포함, 1만7500명이라고 발표했다. 지난해에 비해 해외 증원군은 500명 더 늘었지만 전체 숫자는 7500명 줄어든 것이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는 31일까지 11일 동안 지속되는 이번 훈련에 한국군은 예년 수준인 5만여명이 참가한다. UFG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한 지휘소 훈련(CPX)이어서 참가 병력 숫자는 큰 의미가 없다는 지적도 있다.

지난해 훈련 때 등장했던 B-1B 전략폭격기 등이 이번 훈련 기간에 동원될지는 미지수다. 만약 등장하지 않는다면 훈련은 예년 규모 이하로 치러지게 되는 셈이다. 미국령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서 출격하는 전략폭격기 동원은 예고 없이 언제든 이뤄질 수 있다. 미군은 지난 8일 한반도 상공에 두 대의 B-1B를 띄운 바 있다.

훈련에 맞춰 미군 사령관들이 한국에 속속 도착하고 있다. 지난주 조지프 던퍼드 합참의장이 다녀간 것에 이어 미국의 태평양지역 작전을 책임진 해리 해리스 태평양사령관과 핵무기 운용을 맡은 존 하이텐 미국 전략사령관이 이날 방한했다.

이들은 훈련을 참관한 뒤 금주 중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의 대한국 방어 태세를 재확인할 예정이다. 이들이 북한을 향해 어떤 메시지를 던질지도 주목된다.

북한 관영매체들은 며칠째 UFG를 비난하면서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0일 논평에서 이번 훈련이 “붙는 불에 기름을 끼얹는 격으로 정세를 더욱 악화시키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동신문은 또 “침략각본들을 완성하기 위한 반공화국 합동군사연습은 우리에 대한 적대 의사의 가장 노골적인 표현”이라며 “그것이 실전으로 넘어가지 않는다고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고 했다.

북한의 대응수위도 주목된다. 북한은 매년 한·미 연합훈련이 있는 3~4월과 8월에 대응 군사훈련을 하며 장거리 미사일 시험발사나 핵 실험 등으로 맞대응해왔다. 지난해에는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에 이어 핵실험을 했으며, 2015년에는 남북이 휴전선에서 포사격을 주고받았다.

북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올해 미국 태도를 지켜본 뒤 괌 주변 포위사격을 할 것인지 여부를 최종 결정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북한이 실제 괌 포위사격까지는 아니더라도 고각 발사로 동해상에 낙하하는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을 통해 기술력을 확인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온다.

<손제민 기자 jeje17@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