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난각코드'…소비자는 이해 어려운 '난수표', 개선책은?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그동안 한 번도 제대로 눈여겨보지 않았던 달걀 껍질에 있는 생산자정보, 난각코드라고 하죠. 이제는 이걸 모르는 소비자가 없을 정도가 됐습니다. 하지만 표기방식이 복잡하거나 정작 필요한 정보는 그 안에 없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경제산업부 이주찬 기자와 함께 뭐가 문제인지 짚어보겠습니다.

이주찬 기자, 사실 달갈 살 때 깨졌나, 안 깨졌나 이 정도 확인하는 것도 귀찮아서 잘 안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제는 난각코드까지 확인해야 하는 그러한 상황이 됐습니다.

[기자]

맞습니다. 먼저 흥미로운 영상 하나를 함께 보시겠습니다.

한 여성이 계란 판매대에 있는 포장지에 휴대전화를 가까이 대자 산란계의 사육환경이 애니메이션으로 나타납니다.

호주의 한 애플리케이션 회사가 개발한 앱인데요. 유럽과 선진국 등 산란계의 사육환경이 계란 등급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고 있습니다.

IT 강국인 우리도 이런 애플리케이션으로 간단한 계란의 정보를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하면 좋을 것 같은데 현재는 난수표와 같은 숫자와 문자를 열거해 놓은 방식입니다.

[앵커]

이게 지금 호주의 장면이라는 거죠. 호주 소비자들은 스마트폰을 통해서 생산지, 달걀 생산지를 알 수 있다, 이런 모습인데 현재 우리나라도 난각코드로 이제 생산지에 대한 코드를 알 수 있다고는 하지만 그 안에서 이제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가 없다, 힘들다, 이런 거잖아요.

[기자]

그렇습니다. 지금 화면에서 보시게 되면 왼쪽에 있는 게 일반 계란입니다.

앞에 두 자리는 지역번호고요. 뒤에는 농장 이름이나 농장주의 이름 등으로 표시를 합니다.

그런데 생산 정보 외에는 없는 것이죠, 아무 정보도. 오른쪽에 있는 것이 등급란인데요.

등급란은 일종의 프리미엄 계란입니다.

[앵커]

마트에 가보면 대형마트에 보면 1등급란, 2등급란, 이렇게 있던데.

[기자]

그렇습니다.

[앵커]

저건 또 친환경 인증 같은 거하고는 또 다른 겁니까?

[기자]

별개로 까다로운 절차를 이용해서 등급을 매기는 계란인데요.

이제 판정이라는 글씨와 함께 지역번호, 생산자번호, 농장주의 닭 분류 번호, 집하장 코드, 등급 판정 일자 등 보다 많은 정보가 담겨 있기는 합니다.

[앵커]

한눈에 봐도 일반란과 등급란에 적혀 있는 난각코드가 다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하지만 이런 계란은 전체 계란의 7.6%에 불과한 데다 보시는 바와 같이 이해하기 어려운 난수표와 같다, 이런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또 이번 전수조사 결과 과정에서 보면 서로 다른 농장이 같은 코드를 쓰거나 아예 코드가 없는 계란도 나타나서 소비자들이 혼선을 겪고 있습니다.

[앵커]

그나마도 적혀 있는 난각코드가 정확하지가 않다, 그런 이야기… 어떻게 보면 결국은 어떤 식으로든지 개선이 필요할 텐데 이 부분에 대해서 정부가 내놓고 있는 대책이 있습니까?

[기자]

농식품부는 계란에도 이제 바코드를 부여하거나 생산 정보뿐만 아니라 유통과정도 추적할 수 있게 해서 축산물이력관리 체계를 2019년에 조기 도입하겠다, 이런 입장이고요.

그런데 이제 전문가들은 이와 함께 복잡한 유통구조를 개선하고 ICT 인프라를 활용해서 스마트폰, QR코드 등 보다 소비자 친화적인 방식들의 대안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 이렇게 지적하고 있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2019년까지 축산물이력관리제가 도입된다고 하면 아직 2년이나 더 남았는데 좀 더 빠른 어떤 소비자들이 안심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하겠습니다. 경제산업부 이주찬 기자였습니다.

이주찬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