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1 (일)

[금융초보 탈출기]물가 겨우 2.2% 올랐다고?…체감물가와 왜 다를까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전상희 기자] ‘김머니’씨는 최근 장을 보다 훌쩍 오른 식품 가격에 깜짝 놀랐습니다. 한 예로 지난해 여름 1만원 대 초반이던 5kg짜리 수박 한통이 1만 5000원을 넘어섰죠. 김씨는 지난해 대비 50% 가까이 올라버린 식재료 가격에 놀라 사려고 했던 몇몇 품목을 포기했습니다. 한결 가벼워진 장바구니를 들고 집으로 돌아온 김씨는 기사 하나를 읽었는데요. 소비자물가가 전년 대비 2% 올랐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김씨는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죠. “고작 2%? 체감은 훨씬 높은데?”

물가가 비상이란 소식이 곳곳에서 들려옵니다. 올여름 가뭄과 홍수가 거듭되면서 채솟값이 급등했기 때문인데요. 최근엔 ‘살충제 계란’ 논란이 더해지며 식품 물가 상승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감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2% 뛰었다고 합니다. 지난해엔 10만원을 가지고 장을 봤다면 올해는 같은 물건을 사기 위해 10만원에 2200원을 추가로 써야 한다는 얘기죠.

그런데 말입니다. ‘김머니’씨처럼 마트나 시장에서 느끼는 물가상승률은 2%를 훨씬 넘는다고 생각하는 분 꽤 많으실 겁니다. 이는 한국은행이 일반인들의 체감물가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전국 56개 도시의 22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물가 인식 조사에서도 엿볼 수 있는데요. 이 조사는 물가의 실제 상승 여부와 상관없이 사람들이 물가가 어느 정도 상승했다고 느끼는지 묻는 조사죠. 이 조사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6년까지 내내 체감물가가 물가상승률을 크게 웃돌았습니다. 왜 체감물가는 정부에서 발표하는 공식물가보다 항상 높은 걸까요?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개개인이 구매하는 품목과 공식물가에 포함되는 품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소비자물가’는 전체 가구의 평균적인 물가변동을 측정하기 위해서 대표 품목을 가려내 물가 변동을 측정합니다. 지난해 기준 소비자물가 대표품목은 460개로 이 품목에는 전세, 월세,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연탄 등이 포함돼 있습니다. 하지만 전세를 사는 사람은 월세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도시가스를 사용하는 사람은 연탄 가격의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죠. 또 TV나 자동차 등을 새로 구입할 계획이 없다면 이러한 품목의 가격변화에도 영향을 받을 일이 없습니다. 결국 소비자물가지수 작성에 포함되는 460개 품목을 모두 구입하는 경우가 아니고서야 개개인이 느끼는 물가의 등락은 모두 다를 수밖에 없겠죠.

두 번째, 품목별 가중치가 영향을 미칩니다. 통계청은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소비자물가 조사 대상 품목의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합니다. 예를 들어 와인 가격이 올랐다 해도 사람들이 이를 자주 구입하지 않는다면 낮은 가중치를 부과해 물가지수 산출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거죠. 이때 가중치는 전체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액 비중을 근거로 정합니다. 그렇다 보니 가구의 구성도 다양하고 생활양식도 다른 개별 가구에서는 각각의 소비 품목 가중치에 따라 체감물가를 다르게 느끼기 마련입니다. 취학자녀가 있는 4인 가구가 1인 가구보다 교육 부문 지출이 많을 수 있는 것처럼요. 만약 공식 물가가 체감물가와 너무 동떨어져 있을 땐 어떤 품목의 가중치가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건 아닌지 살펴볼 필요가 있겠죠.

마지막으로 구입 빈도에 따른 심리적 요인도 작용합니다. 보통 구입 빈도가 높은 물건이 올랐을 때 물가가 상승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높습니다. 연초에 한번 구매한 자동차의 가격은 내렸고 매일매일 구매하는 식재료의 가격은 오른 경우, 실제로 지출한 금액이 작년과 비교해 늘어나지 않았더라도 ‘요즘 물가가 올랐구나’하고 생각할 수 있다는 말인데요. 보통 구입 빈도가 높은 신선식품, 생활용품 등이 체감물가에 큰 영향을 줍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공식물가와 체감물가 차이를 좁히기 위해 이른바 ‘장바구니 물가’라고 불리는 ‘생활물가지수’를 보조 지표로 사용합니다. 일상생활에서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생활필수품 142개 품목을 대상으로 측정한 물가 지수죠.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장바구니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1% 올랐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였던 점을 비교하면 장바구니 물가는 ‘김머니’씨가 느끼는 체감물가와 보다 가까운 셈이죠.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