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8 (목)

수능 절대평가 도입놓고 ‘일부 vs 전과목’..첫 공청회 의견 팽팽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1일 서울교대서 수능 개편 시안 공청회

학생·학부모·교원 등 400명 참석 열기

절대평가 전면 도입보다 단계적 찬성 많아

“절대평가 확대보다 제도 보완·공감대 먼저”

EBS 수능 연계 두고는 의견 팽팽히 맞서

"폐지해야" VS "긍정기능 살리고 보완을"

중앙일보

11일 교육부 주관으로 서울교대에서 열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21 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 공청회'에서 수능 전과목 절대평가에 찬성 또는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이 각각의 주장이 담긴 팻말을 들고 있다. 신인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능에서 국어 100점, 수학 100점, 영어 80점을 받은 학생이 세 과목 다 90점 받은 학생보다 안 좋은 평가를 받게 됩니다. 이게 문재인 대통령이 말한 공정한 사회입니까.” (일반고 2, 중 3 학부모)


“수학이 지금처럼 상대평가로 유지되면 변별력 때문에 문제 풀기식 수업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전 과목 절대평가 도입해야 합니다.” (서울 자양고 수학교사)


절대평가 전환과 문·이과 통합을 핵심으로 한 정부의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개편 시안을 두고 공방이 본격화하고 있다. 대입 변별력 확보를 위해 일부 과목만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게 맞다고 주장하는 쪽과 전 과목 절대평가를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11일 오후 교육부가 서울교대(서울 서초구)에서 주최한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 공청회’에는 대학교수, 고교교사, 교육단체·학부모단체 대표가 나와 이런 내용을 포함해 토론을 벌였다. 이날 공청회에는 학부모·학생·교사 등 400여명이 참석했다.

중앙일보

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공청회의 최대 쟁점은 수능 절대평가 전환 범위였다. 교육부는 전날 수능 개편안 시안 발표에서 국어·수학·탐구영역 등을 제외한 나머지(영어·한국사·통합사회·통합과학·제2외국어) 과목 절대평가 도입과 전 과목 절대평가 전환의 2가지 방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토론자 대부분은 전 과목 도입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내놨다.

송현섭 도봉고(서울 도봉구) 교감은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면 대학에서는 우수한 학생을 변별할 수가 없다. 2018학년도에 절대평가를 실시하는 영어·한국사 외에 고1 때 배워 고3 때 시험을 치르는 통합사회·통합과학, 특정 과목에 쏠림현상이 있는 제2외국어·한문만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나머지 과목 전환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내놨다. “89점과 90점은 1점 차이로 다른 등급을 받고, 90점과 100점은 10점 차이로 같은 등급을 받는 게 불합리하다”는 주장이다. 송 교감은 “이를 보완할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국민의 공감대를 얻은 후에 절대평가 전환 과목을 점진적으로 바꿔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성진 성균관대 컴퓨터교육과 교수도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치르면 동점자가 급격히 많아져 대입에서 공정성 문제가 논란이 될 수밖에 없다. 절대평가로 바뀐다고 해도 학생들은 1등급을 받기 위해 사교육을 받을 것이다. 일부 교육시민단체에서 주장하는 사교육 경감효과도 없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반면 이찬승 교육을바꾸는사람들 대표는 “수능이 상대평가로 치러져 경쟁은 심화되고 학교 수업은 문제풀이 중심으로 흘러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하려면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치러 수능이 영향력을 약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절대평가 과목을 단계적으로 전환할 경우 국어·수학 등 상대평가 과목 쏠림 현상이 심화될 것이란 우려다.

중앙일보

11일 교육부 주관으로 열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21 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 공청회'에 참여한 전문가들. 왼쪽부터 이찬승 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 송현섭 도봉고 교감, 김성열 수능개선위원장, 이규민 수능개편방안 연구책임자, 안성진 성균관대 컴퓨터교육과 교수, 김선희 좋은학교바른교육학부모회 회장. 신인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수능과 EBS 연계에 대해서는 토론자 간의 의견이 뚜렷하게 엇갈렸다. 이 대표와 송 교감은 “EBS 교재가 교과서를 대체하고 EBS 강의가 학교 수업을 대신하는 교육 파행을 막으려면 수능과 EBS의 연계를 폐지하는 게 맞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안 교수와 김선희 좋은학교바른교육학부모회장은 “EBS가 사교육비를 경감하고 취약지역 학생들을 돕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한 측면은 인정해야 한다. 연계율을 유지하되 연계방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맞섰다.

대부분의 토론자는 수능 개편안의 효과에 대해서도 회의적이었다. 수능 개편만으로 대입제도나 입시경쟁 위주의 교육이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수능제도는 대입전형·내신평가·학생부 등과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 수능을 전 과목 절대평가로 전환해도 내신 평가 체제를 어떻게 바꾸느냐에 따라 효과가 천차만별”이라고 말했다.

고교성취평가제가 본격화된다고 하면 특목고·자사고 쏠림현상도 발생할 게 뻔하기 때문에 고교체제 개선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송 교감도 “단순히 수능 평가방식만 바꾼다고 점수경쟁에 따른 입시적폐가 사라지지 않는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새로운 인재선발 방식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교육부는 16일 호남권(전남대), 18일 영남권(부경대), 21일 충청권(충남대) 공청회를 거쳐 이달 31일 수능 개편안을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전민희 기자 jeon.minhee@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