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수능 개편 “줄 세우기 지양” VS “변별력 붕괴 우려”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능개편안 공청회···절대평가 확대 찬반논란 가열

“일부과목 절대평가 시 수학·국어 풍선효과 우려”

“전 과목 절대평가 도입 시 패자부활 기회 상실”

“수능 변별력 붕괴로 정성평가 강화 원치 않아”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10일 교육부가 발표한 2021학년도 수능 개편 시안은 교육계에서도 논란이다. 한 쪽에선 지금의 수능이 줄 세우기식의 상대평가라며 전 과목 절대평가를 지지하고 있다. 반대편에선 수능 변별력 붕괴로 학생부·면접 등의 중요도가 커지면서 또 다른 학습 부담이 우려된다는 입장이다. 교육부가 내놓은 ‘일부 과목 절대평가’안(1안)과 ‘전 과목 절대평가’(2안)에 대해서도 찬반의견이 충돌하고 있다.

◇ “상대평가는 옆 친구가 실수해야 유리한 평가”

교육부는 11일 서울 서초구 서울교대에서 2021학년도 수능 개편안과 관련해 교육전문가·학부모·시민단체 의견을 듣는 공청회를 열었다.

이찬승 교육을바꾸는사람들 대표는 “상대평가는 비교집단 내 서열이나 비교가 주목적이기 때문에 특정 학생이 교육목표에 도달했는지에 대해선 거의 관심이 없다”며 “옆자리 친구가 실수를 많이 해줘야 나에게 유리한 평가방식으로 경쟁을 심화시킨다”고 지적했다. 현 수능의 상대평가 체제를 비판한 것이다.

이 대표는 “절대평가는 모든 학생은 ‘그 학생에 맞게 가르치면 모두 잘 배울 수 있다’는 성장관점의 교육관에 바탕을 둔다”며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안(2안)을 지지했다.

다만 이 대표는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가 도입되더라도 평가등급은 ‘9등급제’가 아닌 ‘5등급제’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수능 절대평가를 9등급으로 산출할 경우는 학생을 9개 집단으로 세분화하여 줄세우기 때문에 현재의 상대평가 경쟁이 거의 그대로 재현될 것”이라며 “고교교육의 내실화를 위해서는 5등급으로 축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를 도입하되 내신등급은 5등급제로 느슨하게 설정, 과도한 경쟁을 방지하자는 주장이다.

이 대표는 교육부의 ‘일부과목 절대평가’안(1안)에 대해선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교육부 발표대로 한국사·영어·통합사회과학·제2외국어/한문 등 4개 과목만 절대평가로 전환할 경우 ‘풍선효과’가 우려된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수학의 경우 지금도 과도한 수준으로 학습하게 하는데 1안은 수학의 비중을 더욱 높일 것”이라며 “개인이나 사회발전의 필요성과는 상관없이 대입전형에 중요한 과목 위주로 교육과정을 파행 운영하게 만드는 일은 지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학종 불리한 학생 보완해 줄 장치가 수능”

수능 일부과목 절대평가 방안을 지지하는 의견도 나왔다. 송현섭 서울 도봉고 교감은 “자칫 한 학기 또는 한두 과목을 놓쳐 학생부중심전형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학생들이 있다면 이를 보완해 줄 장치가 수능”이라며 “모든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 수능이 더 이상 학생선발 도구로서 가치를 상실한다면 수능으로 정시를 준비하던 많은 학생들의 탈출구는 사라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1학년 때 배우고 3학년 때 수능을 치루는 통합사회·통합과학과 비정상적 쏠림현상이 있는 제2외국어/한문은 절대평가로 우선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1안을 지지했다.

안성진 성균관대 컴퓨터교육과 교수(전 입학처장)도 수능 전 과목 절대평가에 우려를 나타냈다. 안 교수는 “전 과목 절대평가를 시행하는 경우 동점자의 규모가 급격하게 커져 대학의 공정선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전 과목 절대평가 시 모든 과목에서 1등급을 받는 학생이 5000명~1만5000명으로 늘어나는데 이들이 일부 대학 특정학과로 몰리는 현상이 발생할 경우 수능으로는 선발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수능 절대평가로 내신에 실패한 학생들이 ‘패자부활’ 기회를 상실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했다. 안 교수는 “학생부를 중심으로 하는 수시전형은 고1부터 고3에 이르기까지 교과와 비교과를 착실히 관리한 학생에게 유리하다”며 “수능이 전 과목 절대평가로 전환되면 학생부 교과라는 전형요소가 필요하게 되고 늦게 철들거나 고교를 졸업 후 공부에 열정이 생긴 젊은이들에게 기회를 주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 “고1 내신 중요성 탓, 중학교 사교육 성행” 우려

안 교수는 고교 내신의 중요도가 상승하면서 중학교 과정에서 사교육이 확대될 가능성도 제시했다. 그는 “고1 때 성적이 대부분 3학년으로 이어지는 현실이며 이는 대입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며 “고1 성적 향상을 위해 중학교에서의 선행학습 등 사교육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학부모단체는 수능 절대평가 도입으로 대입에서의 공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점을 걱정했다. 김선희 좋은학교바른교육학부모회장은 “수능이 변별무력화로 인하여 대학 입시 전형 자료로서 활용이 무력해진다면 정성평가의 중요도는 당연히 커지기 마련”이라며 “전적으로 교사와 학교에 의해 기록되는 학생부를 토대로 대학입시를 치러야 한다는 것에 다수의 학부모들은 동의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논란은 공청회 밖 장외에서도 이어진다. 중학교 2학년 자녀를 둔 한모(49)씨는 “수능 절대평가에 반대한다”며 “수시 성과는 부모 노력이 절반 이상이다. 수시와 정시 비율을 비슷하게 하거나 수시 비중을 대폭 축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윤진 서울 배명고 3학년 담임교사(사회과)는 교육부 수능개편 시안에 대해 “일부과목 절대평가 방안(1안)은 상대평가를 3과목(국어·수학·탐구)이나 둬 어정쩡한 상태”라며 “2015교육과정의 취지대로 융합형 인재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이끌 인재를 육성한다면 보다 혁신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