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논란의 '파견 검사' 확 줄인다…김형준 전례 없어지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어제(25일) 신임 검찰총장이 대통령 앞에서 읊은 한시가 입길에 많이 올랐습니다만, 결국 검찰개혁은 그간 검찰이 무소불위의 권력이었다는 것에서 출발하고, 검찰의 '무소불위 권력' 원인 가운데 하나로 청와대를 비롯한 '정부기관 파견'이 꼽혀왔습니다. 새 정부에서는 이런 파견검사의 숫자가 대폭 줄어들 전망입니다.

임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동창 스폰서' 논란을 빚고 최근 1심에서 징역형을 선고받은 김형준 전 부장검사는 지난해 예금보험공사에 파견 근무했습니다.

예보는 월급과 별개로 법인카드와 차량 리스비 등을 김 전 부장검사에게 지원했는데, 매달 1280만원, 연간 예산 1억 5000만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보처럼 검사를 파견받은 외부 기관은 올해에만 39곳에 달합니다.

66명의 검사들이 국정원과 감사원, 국회와 지자체 등 곳곳에 파견돼 있습니다.

하지만 절반 가량의 기관에서 일반 변호사들도 할 수 있는 '법률자문' 수준의 업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습니다.

이 때문에 파견 제도가 각 기관에 대한 검찰 정보력을 높이고, 검찰간부들의 '휴식처' 역할을 해왔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새 정부는 파견검사의 규모를 대폭 줄이겠다고 했고, 어제 문무일 검찰총장 역시 인사청문회에서 그 필요성을 인정했습니다.

[문무일/검찰총장 (지난 24일 국회 청문회) : 검찰 본연의 업무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인력을 운영하였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또 어제 국무회의를 통해 65개 고위직책 가운데 검사만 맡을 수 있던 22개 직책의 상당수에 대해 일반직 공무원 등도 부임할 수 있게 개방됐습니다.

특히 사표를 내는 편법적인 방식으로 지속해 많은 논란을 빚었던 청와대 검사 파견도 사라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임지수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