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아이들 도시락 어쩌나”…급식파업에 학부모들 울상(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학교비정규직 임단협 결렬에 29·30일 양일간 파업

정규직 60% 불과한 임금체계·근무환경 개선 요구

파업참여 3150개교..급식중단 1926개교

학부모들 “처우개선 동의하지만 급식 볼모삼지 말아야”

교육당국 “대체급식·단축수업 등 대책 마련”

서울 청계초·중목초·대청중·구로중 등 일찍 마쳐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태진 기자] 매년 반복해온 초·중·고교 급식대란이 올해도 찾아왔다. 조리원, 조리사, 영양사 등으로 일하는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임단협 결렬에 따라 29~30일까지 양일간 시한부 파업을 벌인다. 이들은 근속수당 인상과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박금자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위원장은 2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때 공약한 정규직의 80% 수준 만큼 임금을 보전해달라는 것”이라며 “총 5만명의 노조원들이 이틀간 임금 및 처우개선을 위해 파업에 동참할 것”이라고 말했다.

◇학비노조 “근속수당 인상·처우개선 서둘러야

학비노조에 따르면 학교급식종사자는 영양(교)사·조리사·조리원 등 총 7만 2827명이다.

이중 학교비정규직으로 불리는 학교회계직원은 영양사(4997명), 조리사(8042명), 조리원(5만 2400명)으로 총 6만 5439명에 이른다. 이는 전체 학교급식종사자의 89.9%를 차지한다.

학비노조는 근속수당 인상폭을 연 2만원에서 5만원으로 인상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는 만 3년차 직원 근속수당을 매달 5만원을, 4년차는 7만원, 5년차는 9만원을 받는다.

학비노조는 2년차에 매월 5만원, 3년차에 10만원, 4년차에 15만원씩 지급하는 안을 제시했다. 학교내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임금격차는 근속연수가 늘어날수록 확대되는 만큼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근속수당을 인상해야 한다는 게 학비노조의 주장이다.

현재 10년차 정규직 영양교사 연봉은 4745만 2000원이지만 비정규직은 정규직의 58.2% 수준인 2787만 2000원에 불과하다. 20년차는 정규직이 6289만원을 받는 반면 비정규직은 47.8% 수준인 3003만 2000원을 받는다.

학비노조는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학비노조 경기지부가 노동환경건강연구소에 의뢰해 내놓은 ‘급식실 조리종사자 안전보건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급식 업무 종사자의 90.2%가 허리, 어깨, 손목, 무릎 등의 근골격계질환을 앓고 있다. 또 68.2%가 칼로 베이거나, 화상, 넘어짐 등 사고를 당했지만 업무를 대체해 줄 사람을 구할 수 없어 병가를 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비노조 관계자는 “최근 진행된 임금교섭에서 모든 교육청은 기본급 3.5% 인상안 외에 노조의 요구를 한 가지도 수용하지 않았다”며 “특히 정규직과 임금격차가 연차가 쌓일수록 벌어져 자존감을 상실하고 비참함을 토로하는 근로자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파업에는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단협 체결로 파업권이 없는 경북교육청과 더 교섭하라는 의미의 행정지도가 내려진 제주교육청, 조정회의를 진행 중인 울산교육청 세 곳을 제외한 14개 시·도교육청 소속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참여한다. 지방노동위원회는 14개 시·도에 조정중지 결정을 내렸다.

◇“학생 급식 볼모 삼지 말아야” 학부모들 비난

학교 급식 종사자들의 파업으로 각 학교는 학부모들에게 빵·우유 등으로 급식을 대체하거나 도시락을 지참하라는 내용의 가정통신문을 전달했다.학부모들은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주부 오모(38)씨는 “아이들 점심은 학교 급식에 맡겨왔는데 당장 내일부터 직접 챙겨야 할 상황”이라며 “여름이라 음식이 상할까봐 도시락을 싸주기도 그렇고 유제품으로 대체하기도 불안하다”고 말했다.

학부모들은 비정규직의 임금개선과 처우개선에 공감한다면서도 아이들에게 피해는 주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한다.

권모(39)씨는 “처우개선을 요구하는 것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아이들 급식을 볼모로 단체 행동에 나서는 것은 비난 받을 소지가 많다”고 지적했다.

교육당국은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교육부에 따르면 지난해 2월 기준 전국 초·중·고 및 특수학교 1만 1698개교에서 약 614만명의 학생이 급식을 먹고 있다.

지난해에는 4월과 6월 두 차례에 걸친 파업으로 530여개교에서 급식에 차질이 빚어졌다. 교육부는 이번에도 서울·경기 등 학교가 몰려있는 곳을 중심으로 급식대란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올해 급식 분야 비정규직의 파업을 대비해 지난 7일부터 시·도교육청 관계자들과 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을 강구해왔다”면서 “학교별로 대체급식을 마련하거나 단축 수업을 진행하는 쪽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교육부에 따르면 이번 파업에 참여하는 학교는 3150개교, 파업참가 인원(급식종사자)수는 1만 4266명, 급식을 중단하는 학교는 1926개교, 도시락이나 빵·우유 등 대체급식을 제공하거나 단축수업 등을 하는 학교는 1926개교다.

서울에서 단축수업을 진행하는 대표적인 초등학교는 청계초·중목초·송내초·중곡초·면동초가 있고, 중학교로는 대청중·구로중·시흥중·신도림중·전동중이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일부 학교는 학부모들이 직접 급식을 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지만 음식 조리가 필요한 부분이라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본다.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떡이나 빵 등 간식만 주고 일찍 귀가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