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北 무인기 공격 현실화 할 경우 대비책 있나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국방부에서 공개된 북한 무인기 후면


【서울=뉴시스】 김지현 기자 = 국방부가 이달 정찰용 카메라를 장착하고 한반도 상공을 비행한 무인기가 북한에서 넘어온 것으로 21일 확인함에 따라, 무인기를 활용한 대남 공격 대비체계를 시급히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9일 강원도 인제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는 지난달 2일 북한 강원도 금강에서 휴전선 남쪽 방향으로 비행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가 배치된 경북 성주군까지 정찰한 뒤 회항하던 중 추락했다.

국방부 조사 결과, 이 무인기는 5시간30여분 동안 대한민국 영공을 비행하면서 군사정보를 탐지했고 비행거리가 총 490㎞에 이른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 2014년 경기 파주·강원 삼척와 백령도에서 발견된 무인기보다 비행 거리가 2배 가량 늘어난 것이다.

이같이 북한의 무인기 개발 기술이 진보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금의 정찰 목적을 넘어 향후 소형폭탄이나 생화학무기를 탑재해 공격용으로 사용될 가능성에 우리 군이 주목하고 있다. 생각하기 싫은 가정이지만 북한이 우리의 원전시설을 겨냥할 경우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우리 군은 무인기를 활용한 북한의 대남공격에 대해 나름대로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지만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면 보완해야 할 부분이 한두군데가 아니다.

먼저 육군은 무인기 공격에 대비해 저고도 탐지레이더(TPS-830K)를 운용 중에 있지만 1~2m 크기의 소형기체 탐지 능력은 떨어지는 편이다. 서울의 주요 시설 근처에 배치돼 있는 이스라엘제 전술저고도레이더 RPS-42는 성능은 뛰어난 편이나 단거리만 감지가 되는데다 상대적 고가란 점이 단점이다.

이에 우리 군은 국지 방공레이더에 소형무인기 탐지 능력을 추가해 전력화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자체적으로 개발 중인데 실전 배치까지는 2~3년 가량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때까지는 아무래도 위협에 노출돼 있는 셈이다.

따라서 국방부는 열상감시장비(TOD)를 대공용으로 전환해 전력화 이전까지 임시 운용하고, 후방지역에 배치됐던 국지방공자산인 '비호복합'을 전방지역으로 이동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비호복합은 저고도로 침투하는 저공기와 저속기, 무인기 등에 대비한 무기로 30㎜ 쌍열 자주대공포 '비호'와 휴대용 대공미사일 '신궁'을 결합한 무기체계다.

이와 관련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해외 무기를 들여오더라도 예산 편성에서 무기 제작까지 아무리 빨라도 1년 6개월이 걸린다"며 "차기 국지 방공레이더가 2~3년 후에 개발 완료, 전력화된다면 기다리는 게 맞다"고 말했다.

김동엽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레이더 기술의 핵심은 산과 산 사이의 탐지와 작은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능력인데 무인기가 날아오는 고도와 속도, 무인기의 크기에 적합화된 레이더를 만들어서 전방지역에 배치하면 기존 대공레이더가 잡지 못하는 영역도 포함되는 것"이라며 "현재 군의 기술로 충분히 개발 가능하다"고 평가했다.

국방부 차관을 지낸 백승주 자유한국당 의원은 "북한 무인기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육해공군 합동으로 운용되는 전담 부대를 만드는 게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fine@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