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단독] “제자들 구하다 죽은 내 딸, 의인으로 기억되길 바랄 뿐”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월호 김초원 교사 아버지 김성욱씨

하루도 목 놓아 울지 않은 날 없어

성대 다 녹아버려 인공성대 수술

기간제 교사라고 순직 인정 못 받아

딸 명예 위해 3년째 힘겨운 싸움

5층에 같이 있던 선원들은 탈출

4층 내려간 딸은 구명조끼도 없이 …

중앙일보

김성욱씨가 경남 거창의 집에서 딸 김초원 교사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김씨가 들고 있는 사진첩에는 세월호 사고로 운명을 달리한 단원고 교사 12명(참사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강민규 교감 포함)의 모습이 담겨 있다. 왼편의 그림은 한 시민이 제작해 김씨에게 전달해 준 김 교사 캐리커처다. [거창=송봉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성대가 녹았다더라고요. 얼마나 울부짖었는지….”

2014년 4월 16일 가라앉는 세월호에서 학생들을 대피시키다 숨을 거둔 안산 단원고 김초원(당시 26세) 교사의 아버지 김성욱(59)씨의 목소리는 거칠었다. 그는 지난달 성대를 떼어내고 인공 성대를 넣는 수술을 받았다.

12일 전인 4월 16일은 딸의 생일이었다. “운명의 장난질에 하루도 목 놓아 울지 않은 날이 없었다”는 김씨는 ‘기간제 교사’였던 딸의 ‘순직’을 인정받기 위한 길고 고단한 싸움을 벌이고 있다. 2014년 6월 공무원연금공단이 순직 공무원의 유족에게 주는 보상금과 급여를 줄 수 없다고 거절한 뒤부터다. 현재는 공익변호사그룹 ‘공감’의 윤지영 변호사 도움을 받으며 법정 투쟁을 벌이고 있다.

딸과 함께 살던 경기도 안산의 집을 처분하고 낙향한 김씨를 28일 만났다. 김씨 부부는 경남 거창군 월평리 마을에서 노모(83)를 모시고 닭과 염소를 키우며 살고 있었다. 김씨는 “할머니에게는 미국에 유학 갔다고 둘러대 초원이가 떠난 걸 아직 모른다”고 미리 주의를 당부했다.



Q : 순직을 인정받는 게 어떤 의미가 있나.



A : “그냥 죽은 것과 아이들을 구하려다 죽은 것은 의미가 다르잖아요. 자식도 남기지 못한 채 간 딸이 훗날 의인으로 기억되길 바라는 게 지나친 욕심인가요.”




Q : 그것뿐인가.



A : “산재 보험금을 이미 받았기 때문에 ‘순직’을 인정받는다 해도 연금공단 보상금을 따로 받게 되는 것이 아니에요. 결혼도 안 해서 국가유공자 혜택을 볼 가족도 없어요. 유공자로 등록되면 부모에게 국립공원 입장료 50% 할인 혜택이 있다고 합디다. 공무원들도 내가 돈 더 받으려고 떼쓰는 것으로 알더군요.”


중앙일보

대학 졸업 때의 김초원 교사. 그는 공주대 사범대에서 4년간 장학금을 받았다. [사진 김성욱씨]


김씨는 딸의 명예를 찾아주기 위해 안 다녀본 곳이 없다고 했다. 국회의장도 만나고 국회의원에게도 하소연했다. 국무총리실·인사혁신처·도교육청 등을 집요하게 찾아다녔다. 그 결과 대한변호사협회·국회 입법조사처·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 등이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11명의 교사 중 기간제 교사였던 김초원·이지혜 교사를 ‘순직 공무원’으로 인정해야 한다는 취지의 의견을 냈다. 최근에는 국가인권위도 인사혁신처에 순직 인정을 권고했지만 정부는 요지부동이다.

김씨는 “공무원들이 거부할 명분만 찾는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처음에는 주당 근로시간이 35시간 미만이어서 안 된다더니 ‘주 40시간’이라고 적힌 임용 계약서를 들이밀었더니 ‘상시 근무자’가 아니라서 안 된대요. 담임까지 맡아 다른 선생님들이랑 똑같이 일했는데 그게 무슨 궤변인가 싶더라고요.”

김씨가 딸을 마지막으로 본 건 수학여행을 떠나는 날 오후 짐을 챙기러 잠시 집에 들렀을 때였다. “5층 숙소에서 선원들이랑 같이 나왔으면 무사히 탈출할 수 있었을 텐데 4층으로 내려갔다더라고요. 떠올랐을 때 보니까 학생들한테는 전부 구명조끼를 입혀줬는데 우리 애는 안 입었어요.”

중앙일보

세월호 참사 발생 1년 뒤인 2015년 4월 16일에 단원고 학생들이 김성욱씨에게 보낸 김초원 교사 생일 축하 편지. 김 교사의 생일은 4월 16일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 언제부터 선생님이 되고 싶어 했나.



A : “키도 크고 늘씬하니까 난 경찰이나 군인이 됐으면 했죠. 그런데 중3 때 화학선생님이 너무 예쁘다면서 그렇게 좋아했어요. 그때부터 자기도 선생님 되겠다고…. 꿈꾸던 대로 화학선생님이 됐지요. 공주대 사범대 4년 내내 전액 장학금 받고 다녔어요.”




Q : 학생들은 선생님을 어떻게 기억하나.



A : “2학년 3반 담임을 맡으면서 3학년 수업을 했어요. 학생들이랑 영화 보고 밥 먹고. 지금도 학생들이 선생님이랑 같이 다니던 빵집 지나면 선생님 생각이 난대요. 사고 전날 밤에는 학생들이 ‘친구가 아프니 좀 봐달라’고 객실로 딸을 내려오게 해 케이크에 촛불 켜서 깜짝 생일파티를 해줬다고 해요. 학생들이 돈 모아서 귀고리랑 목걸이 선물도 사 주고. 시신 수습했을 때 보니 선물받은 귀고리·목걸이 걸고 있더라고요.”


요즘 김씨는 일말의 희망을 갖게 됐다고 했다. 대통령 선거 후보들이 앞다퉈 두 교사의 순직 인정을 돕겠다고 약속해서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지난 16일 안산 합동분향소에서 열린 세월호 3주기 추모 행사에서 두 사람의 명예회복을 약속했다. 김씨는 “상식에 희망을 걸고 있다”고 말했다.

거창=유길용 기자

유길용 기자 y2k7531@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