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홍준표, 승리 위한 극단적 '편가르기'…통합은 어디로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the300]"분열 조장하지만 공론장 형성 긍정적 측면도…판단은 유권자의 몫"]

머니투데이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선후보가 28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에서 열린 제19대 대통령후보 초청 교육정책간담회에 참석해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7.4.28/뉴스1 <저작권자 &copy;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제19대 대통령선거의 화두는 '통합'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으로 인해 분열된 국론을 통합하는 게 시대적 과제다. 또 국회선진화법으로 인해 '협치' 없이는 다당제 체제에서 국정 운영을 해나갈 수가 없다는 이유도 있다. 이 때문에 각 당의 후보들은 저마다 '통합정부'를 구성하겠다고 약속하고 있다.

그러나 단 한 명의 후보만은 예외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는 극단적인 선긋기를 통한 '진영 재편'을 전략으로 삼았다. 좌파 대 우파, 남성 대 여성, 동성애자 대 이성애자, 호남 대 영남 등 선거 구도를 이분법적으로 나누고 있다. 선거공학적으로는 좋은 전략이지만 구태정치의 부활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홍 후보는 대선출마를 선언한 후부터 '좌-우' 대결로 선거구도를 재편하고자 했다. 탄핵 국면에서 보수진영이 탄핵찬성과 반대진영으로 나뉘어져서는 이길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우파 '통합'의 매개체로는 '안보 이슈'를 선택했다. 처음에는 사드 배치 찬성만으로도 차별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미국의 북한 선제타격설이 나오는 등 안보위기가 고조되면서 대부분의 후보가 사드 배치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돌아서자 '전술핵배치'라는 더 강력한 수를 들고 나왔다.

홍 후보는 '지역주의'도 다시 자극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둘 다 영남 출신이면서 호남에 지역 기반을 둔 정당의 후보라는 점에서 영남 대 호남의 대결 구도는 이번 선거에서 사라지는 듯했다. 그러나 홍 후보는 "동남풍이 불면 대선 판도가 바뀐다"며 영남지역 세결집에 가장 많은 시간을 쏟았다.

홍 후보는 영남지역을 찾아 영남 출신 대통령인 박정희, 김영삼, 박근혜 전 대통령을 언급하며 영남지역이 우파의 본산임을 강조했다. 또 우파가 이 나라를 건국하고 산업화한 세력임을 강조하며 '애국심'을 자극했다. 반면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 지난 17일부터 이날까지 호남지역은 단 한 차례도 찾지 않았다.

이러한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과거 보수정당의 승리공식과도 같았던 '좌-우 대결' '지역주의'로 선거구도가 잘 개편되지 않자 홍 후보의 '계산된 편가르기 전략'은 좀 더 구체화했다. '군 가산점제' '동성애' '사형제' 등 찬성과 반대로 쉽게 대답할 수 없는 문제로 상대방을 공격했다. 그러면서 홍 후보는 "동성애는 엄벌해야 한다" "군 가산점제는 부활돼야 한다" "집권하면 흉악범을 사형시키겠다"는 식의 발언으로 자신의 지지층 결집을 꾀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홍 후보의 정치 전략은 성공적이다. 대선출마 선언 이후 약 한 달 동안 6~7%대에 머물던 지지율은 여론조사기관마다 차이는 있지만 최근 12~15%까지 뛰어올랐다. 그러나 이런 선거 전략 속에 통합과 화합의 가치는 사라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반면 '동성애'처럼 한 번도 선거 국면에서 전면에 등장하지 않았던 금기어가 홍 후보로 인해 공론의 장으로 들어왔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는 분석도 있다.

신 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낮은 지지율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일 텐데 확장성에는 한계가 있다"며 "보수층이 결집하더라도 지난 번 대선에 박근혜 대통령을 뽑은 것을 부끄러워하는 '샤이 보수'층에는 전혀 어필하지 못하는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편가르기를 조장하는 듯 보이는 홍 후보의 전략도 정치학적으로 나름 의미는 있다"면서도 "시대적 가치 등을 반영해 선택은 유권자들이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민우 기자 minuk@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