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뭉크 ‘절규’ 속 핏빛 구름, 실존하는 희귀 구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뭉크의 ‘절규’(왼쪽)와 자개구름


노르웨이 출신 표현주의 화가 에드바르 뭉크(1863~1944)의 대표작 ‘절규’. 우리에게도 친숙한 이 명화에는 공포에 떨듯 양손으로 귀를 막고 절규하는 인물 외에도 소용돌이같이 불그스름한 핏빛 구름이 그려져 있다.

그동안 이 환상적인 구름을 두고 과학자들은 뭉크 자신의 내면적인 고통을 은유한 것이나 실제 화산 폭발의 한 장면을 묘사한 것이라는 등 다양하게 해석해왔다.

그런데 이번 노르웨이의 과학자들은 이 구름이 저온의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는 한 희귀 구름을 나타낸 것일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24일(현지시간) AF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오스트리아 수도 빈에서 열린 유럽지구과학연맹(EGU) 회의에서 노르웨이 오슬로대학 연구진은 뭉크는 절규라는 그림 속에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 상공에 떴었던 ‘자개구름’을 그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자개구름은 진주구름이나 진주모운으로도 불리고 있는데 진주조개와 같이 아름다운 분홍색과 녹색으로 빛나기 때문. 그런데 이 구름은 약 20~30㎞의 높은 고도에서 일출 전이나 일몰 후 기온이 매우 낮은 특수한 상황일 때만 발생한다. 따라서 이 구름을 직접 보기는 매우 어렵다. 지난 2014년에도 노르웨이 남동부 일대에서 이 구름이 관측돼 세간의 관심을 끈 바 있다.

그런데 19세기 후반에도 오슬로 부근에서 이 구름이 관찰됐다는 기록이 남아 있고 그 형상이 뭉크가 그린 것과 비슷해 이번 연구로 이어졌다고 한다.

연구를 이끈 오슬로대학의 헬레네 무리 연구원은 “뭉크는 갑자기 하늘이 붉어져 공포에 떨었을 것”이라면서 “따라서 자연에서 그의 경험과 작품 속 배경은 자개구름이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또한 “심리학자들은 뭉크의 절규에서 정신적인 고통을 볼 수 있지만, 우리 같은 자연 과학자들은 자연 속에서 해답을 찾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사진=뭉크의 ‘절규’(왼쪽, bridgemanart.com), 자개구름(위키피디아, CC BY 2.0)

윤태희 기자 th20022@seoul.co.kr



    ▶ [웰 메이드 N],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인기 무료만화]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