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19 (화)

월세시대 본격화…10명 중 7명 “대출금 상환 부담”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토부 ‘2016년 일반가구 주거실태조사’

-월세 비중 2014년 55.0%서 60.5% 증가

-39.5% “정부차원의 주거지원 필요하다”



[헤럴드경제=정찬수 기자] 자기가 소유한 집에 사는 자가점유율이 소폭 상승한 가운데 임차가구의 월세 비중은 더 높아졌다. 국민 10명 중 7명은 임대료와 대출금 상환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25일 발표한 ‘2016년 일반가구 주거실태조사’에 따르면 자가점유율은 2014년 53.6%에서 56.8%로 상승했다. 임차가구 중 월세 비중은 같은 기간 55.0%에서 60.5%로 증가했다.

자가점유율의 상승은 전국적으로 동일했다. 수도권은 45.9%에서 48.9%로, 지방은 56.5%에서 59.9%로 각각 상승했다. 전세가격의 상승과 아파트를 비롯한 빌라 등의 공급이 늘면서 내 집을 마련한 이들이 많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헤럴드경제

자가점유율이 높아진 가운데 임차가구 중 월세의 비중도 증가했다. 대출금 상환 부담은 공통적인 족돼다. 주거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큰 이유다. 특히 저소득층은 전세자금 대출지원과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늘려야 한다고 응답했다. [헤럴드경제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집주인이 살지는 않지만 집을 소유한 비율인 자가보유율도 2014년 58.0%에서 59.9%로 증가했다. 수도권과 지방은 각각 52.7%, 63.1%로 조사됐다. 소득계층별로는 저소득층은 소폭 하락한 반면, 중소득층과 고소득층에선 상승했다. 은퇴세대를 비롯한 자산을 가진 이들이 주택을 투자재로 활용했다고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임차시장에선 전세시대가 가고 월세시대가 도래했다. 월세가구는 2014년 대비 5.5%포인트 상승했다. 전세가구는 같은 기간 45.0%에서 39.5%로 감소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ㆍPrice to Income Ratio)은 2014년 4.7배에서 5.6배로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6.7배로 광역시(5.3배)와 도지역(4.0배)보다 높았다. 반면 임차가구의 월소득 대비 주택임대료 비율(RIRㆍRent to Income Ratio)은 18.1%로 2014년(20.3%)보다 감소했다.

평균 거주기간은 11.2년에서 10.6년으로 줄었다. 임차가구는 3.6년으로 2014년(3.5년)보다 조금 길어졌다. 분양시장 호황과 이주민의 영향으로 최근 2년 내 이사가구 비율은 36.9%로 소폭 증가했다.

국토부가 이사 경험이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이유를 조사한 결과 ‘가구의 자가주택 마련을 위해’가 23.9%로, ‘주택규모를 늘리려고(22.4%)’ 등보다 높았다. 내 집 마련 욕구가 강했다는 의미다. 아울러 10집 중 1집(13.2%)은 이사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2014년 99만 가구에서 103만 가구로 늘었다. 다만 전체가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4%로 같았다. 1인당 평균 거주 면적은 33.5㎡에서 33.2㎡으로 줄었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른바 ‘은행집’의 족쇄는 여전했다. 국민의 66.5%가 임대료와 대출금 상환에 부담을 느낀다고 답했다. 수도권(71.0%)의 거주가구의 부담이 지방(61.4%)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점유형태별로는 월세, 전세, 자가 순이었다. 여전히 임차가구에 살고 있는 이들이 많다.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거지원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선 10명 중 4명(39.5%)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월세가구의 목소리가(59.6%)가 가장 컸다. 이밖에 저소득층은 ▷전세자금 대출지원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필요로 했고, 중ㆍ고소득층은 주택자금 대출 지원이 필요하다고 꼽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부터 조사표본을 6만 가구로 늘리고 조사주기를 단축해 다양한 계층의 목소리를 듣고 정책의 시의성을 확보할 계획”이라며 “생애주기별 맞춤형 주거복지정책 수립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andy@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