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코인 없는 세상’ 때문에 꼬인 사람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정부·한은, 비용 절감 위해 추진

코인노래방·오락실·인형뽑기 등

사업자들 “어떻게 먹고사나” 긴장

“동전을 안 쓰면 우리 같은 오락실은 다 망합니다.”

이진대(64)씨는 서울 동대문구 휘경동에서 18년째 오락실을 운영하고 있다. 그는 “2006년 바다이야기 사건이 터지기 전까지만 해도 오락실이 먹고살 만한 장사였다. 월 600만원을 벌던 때도 있었다”고 회상했다. 하지만 이씨는 한국은행이 20일부터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 ‘동전 없는 사회’를 두려워하고 있다. “게임 한 판에 200~500원인데 앞으로 최소 1000원을 내야 한다는 것 아닙니까. 지폐 투입구가 있는 기계로 새로 교체해야 하는 비용은 추산조차 못하겠습니다. 수익도 뭣도 없으니 포기하는 수밖에 없죠.”

이씨처럼 동전으로 먹고사는 사업자들이 떨고 있다. 오락실, 코인노래방, 인형뽑기 같은 전통적 동전사업 종사자들은 물론 돼지저금통 제조업체 등도 정부 정책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부는 말 그대로 동전을 사용하지 않는 사회로 가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200원짜리 물건을 사고 1000원을 내면 과거에는 거스름돈 800원을 동전으로 받았지만 이를 교통카드나 계좌로 송금한다. 한은은 현재 편의점과 일부 마트를 시작으로 2020년까지 약국 등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지난해 동전 제조에 600억원가량이 들었는데 이 비용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인형뽑기는 ‘두 번 뽑는 체제로 가면 되지 않겠느냐’며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분위기다. 황인경 인협뽑기협회 명예회장도 “지금 500원짜리로 운영하는 기계들은 1000원에 두 판 이런 식으로 바꿔야 할 것 같다. 구체적 대책은 아직 없는 상태지만 고민은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저금통을 다루는 사람들도 고민에 빠졌다. 저금통 제조업체 ‘세명사’ 관계자는 “아직 생산량을 줄일 계획은 없지만 정책이 본격화하면 업종을 바꾸거나 생산량을 줄이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한영익·김준영 기자 hanyi@joongang.co.kr

한영익.김준영 기자 hanyi@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