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이런 그림 보며 담배 피워야 하나” … 금연클리닉 등록 2배로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뱃갑 경고그림 의무화 두 달

편의점 거꾸로 진열 꼼수 거의 없고

금연 상담전화도 통화량 크게 늘어

“시간 지나면 경고그림에 무뎌져

금연 반짝효과 피할 추가 정책을”

중앙일보

지난달 28일 서울 서초구 금연지원센터에 담뱃갑이 쌓여 있는 모습. 센터에 상담받으러 온 흡연자들이 금연을 다짐하며 버리고 간 제품들이다. 김춘식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담뱃갑의 폐암 그림을 계속 보니까 무섭더라고요. 이럴 거면 끊자고 다짐하고 친구와 같이 왔어요.”

지난달 말 서울 서초구 금연지원센터를 찾은 최기혁(24)씨가 호주머니에서 빈 담뱃갑을 꺼내며 말했다. 그가 보여 준 담뱃갑에는 폐암 수술장면을 담은 경고그림이 선명했다. 하루 평균 15개비씩 피운다는 최씨는 30분간 금연상담을 받은 뒤 니코틴 패치 등 금연보조제를 들고 센터를 나섰다.



중앙일보

담뱃갑 경고그림(폐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담뱃갑 경고그림(피부노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흡연 폐해를 알리는 경고그림의 담뱃갑 부착이 의무화(지난해 12월 23일부터)된 지 두 달여가 지났다. 담뱃갑 앞·뒷면에 표기해야 하는 그림은 폐암·후두암 등 10가지다. 기존 담배 재고가 소진되면서 최근 편의점과 수퍼마켓 등에선 경고그림이 붙은 담배가 그 자리를 속속 대신하고 있다.

본지가 실태 파악을 위해 지난달 28일 서울 강남역·시청·종로 일대 편의점 40곳을 확인한 결과 진열된 담배의 60~70%에 경고그림이 부착돼 있었다. 서울 강남구의 한 편의점 직원 김모(28)씨는 “인기 없는 담배 제품을 빼고는 거의 다 그림이 부착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담뱃갑 경고그림을 가리기 위해 제품을 거꾸로 진열한 서울 시내 한 편의점. 하지만 대부분의 편의점은 이러한 '꼼수' 없이 정상적으로 담뱃갑을 진열한 것으로 확인됐다. 추인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진열대로 경고그림을 교묘히 가리는 ‘꼼수’도 거의 없었다. 담뱃갑 상단의 경고그림을 일부러 가격표가 있는 진열대 아래로 뒤집어 놓은 매장은 40곳 중 2곳(5%)에 불과했다. 또 꼼수를 쓰더라도 효과는 거의 없다고 한다. 서울 중구의 한 편의점 주인은 “내가 그림이 보기 싫어 담뱃갑을 뒤집어 진열했는데 담배 매출이 늘지는 않더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경고그림 때문에 금연상담을 하는 사례는 늘고 있다. 평일 오후였던 이날 서초구 금연지원센터에선 한 시간 만에 5명이 금연클리닉에 새로 등록했다. 회사원 안병권(47)씨는 “담배를 20년째 피우는데 최근 기침이 많이 나면서 불안해졌다. 거기에 경고그림까지 보니까 ‘몸에 안 좋은데 계속 피워야 할까’란 의문이 들어 완전히 끊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서초구보건소의 조윤희 주무관은 “요즘엔 ‘이런 그림을 보면서까지 담배를 피워야 하나’라고 말하는 금연상담자가 많다”고 전했다. 다른 지역도 상황은 비슷하다. 전국 보건소의 금연클리닉 등록인원은 지난해 말 2만6320명이었지만 올 1월엔 5만1450명으로 두 배가 됐다.

중앙일보

금연상담전화(1544-9030)도 통화량이 급증했다. 상담건수는 지난해 12월 330건에서 올 1월 587건, 2월(1~2주 기준)엔 벌써 1214건이나 된다. 특히 경고그림 때문에 전화를 걸었다는 비율도 꾸준히 늘어 80%(2월 기준)에 달한다. 금연상담전화를 총괄하는 임민경 국립암센터 암예방사업부 교수는 “보통 1월엔 신년 다짐 때문에 금연상담이나 클리닉 등록이 늘지만 2월에 더 많아지는 경우는 흔치 않다”며 “경고그림 덕분에 상당 기간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경고그림이 ‘반짝효과’에 그치지 않으려면 추가적인 금연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일부 흡연자는 벌써 경고그림을 가리려고 별도의 담뱃갑 케이스를 사용하거나 스티커로 그림을 가리는 ‘자구책’을 쓰고 있다.

이성규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외국의 사례를 봐도 시간이 지나면 경고그림에 무뎌지게 될 수밖에 없다”며 “흡연율을 더 낮추려면 어떤 그림이 효과가 큰지 면밀히 분석하고 소매점 담배 광고 금지, 가향 담배 규제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병기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장도 “소매점이 진열대로 경고그림을 가리는 행위를 금지하는 입법을 조속히 추진할 계획”이라며 “경고그림에 거부감이 있는 사람을 고려해 금연 인식을 높이는 내용의 TV 캠페인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글=추인영·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사진=김춘식 기자

김춘식.정종훈.추인영 기자 kim.choonsik@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