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팩트체크] 블랙리스트 수사, 특검의 '월권'인가?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블랙리스트', 특검의 중요 수사 대상 가운데 하나입니다. 하지만 특검법에 이 용어는 나와있지 않습니다. 그래서 특검이 월권을 하고 있다, 수사 범위를 넘어서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한 단체가 직권남용으로 특검팀을 고발했고, 여당에선 이런 주장도 나옵니다.

[김진태/새누리당 의원 (지난 14일 집회) : (특검은) 이번 사태에 한해서만 수사를 해야 됩니다. 그런데 자꾸자꾸 대상을 넓히려고 합니다. 그러면 법적으로 안 되는 겁니다.]

팩트체크 시작하죠. 오대영 기자, 정말 법적으로 안 된다는 겁니까?

[기자]

이런 주장의 취지는 특검이 아무리 수사를 하더라도 그 범위에 넘어서면 법원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을 수도 있다라는 건데, 결과부터 말씀드리면 그렇지는 않았습니다.

특검법은 수사대상을 총 14개 유형으로 이렇게 나눠놨습니다, 무척 많죠. 그리고 15번째 맨 마지막에 14번째까지의 수사 과정에서 인지된 관련 사건도 수사하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이 문구의 해석이 엇갈립니다.

특검은 '인지된', 즉 수사 과정에서 알게 된 사건은 수사할 수 있다는 것이고요. 새누리당 내에서는 관련 사건의 조건에 맞아야 한다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그런데 인지된 사건, 관련 사건, 듣기에는 다 비슷해 보이는데 법적으로 다른 건가보죠?

[기자]

일단 인지된 사건은 말씀드린 대로 수사를 쭉 하다가 그 과정에서 알게 된 관련된 사건을 의미하는 거죠. 그래서 특검은 이 수사의 큰 틀 안에, 그리고 특검법의 큰 틀 안에서 취지가 맞아떨어지면 수사를 충분히 할 수 있다라는 거죠. 즉 이 특검법 안에서 해석하면 된다라는 겁니다.

그런데 여당 국조특위위원들 사이에서 나온 반론은 관련 사건을 달리 해석했습니다. 형사소송법이라는 또 다른 법에 나온 규정에 따라야 한다라는 건데요.

예를 들어 이런 겁니다. 한 사람이 범한 여러 사건, 혹은 여러 명이 공동으로 범한 사건, 여러 명이 동시에 동일 장소에서 범한 사건, 복잡하죠. 이 중의 하나가 되어야 한다라는 주장인 거죠.

[앵커]

이게 말이 좀 어려운데 예를 들어서 최순실 씨의 사기미수, 증거인멸 교사. 이런 걸 한꺼번에 관련 사건이다라고 부른다는 거 아닙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그게 형사소송법 11조의 첫 번째 해당된다는 거고. 두 번째 한번 볼까요.

여러 명이 공동으로 범한 죄, 이건 공범이었잖아요, 검찰 수사 단계에서. 직권남용, 강요처럼 최순실·안종범의 공범, 이런 정도의 조건이 맞아떨어져야 관련 사건이다라는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이 법에 따르면요.

[앵커]

관련 사건의 개념을 특검법이 아닌 다른 법에 따라 해석해야 한다는 논리인데, 글쎄 왜 그래야 할까요?

[기자]

그래서 여당 일각의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라는 게 저희가 오늘 취재한 법조계의 대체적인 분석이었습니다. 상관관계가 없는 법을 근거로 했기 때문인데 조금 전에 말씀드린 이 법, 이 법은 법원이 재판할 때 그러니까 여러 지역의 법원에 사건이 쫙 쪼개져 있을 때 이걸 편의상 합쳐서 판단하라. 즉 관할 사건 병합이 가능하다라는 내용입니다.

다시 말해서 재판을 위한 규정이지, 특검 수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최승재/변호사 (대한변협 법제연구소장) : 법원이 (사건)관할을 할 때, 여러 사람의 피고인이 있는데 그걸 공동으로 범한 범죄를 어떻게 묶어서 법원이 관할을 할까에 대한 문제하고 (특검법 관련 사건하고는) 거리가 있는 주장처럼 보이네요.]

[앵커]

그러니까 법원에 관련된 법을 특검에게 적용한 건데 그러면 블랙리스트 수사는 관련 사건으로 봐야 한다는 얘기인 거죠?

[기자]

다시 한 번 특검법으로 돌아가보겠습니다.수사 과정에서 인지된 관련 사건. 그래서 관련 사건은 수사가 가능하다, 이게 지금까지 나온 결론이잖아요.

여야가 합의한 입법 취지상으로도 그렇다는 게 확인이 됐고 기존 특검법들에서도 거의 같은 조항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블랙리스트는 문체부 1급 공무원 3명의 사직 문제를 수사하다가 나타났습니다. 그 배경에 청와대 정무수석실, 더 뒤에는 비서실 차원의 개입 가능성이 불거진 거죠.

특검법 수사 대상의 8번째로 다시 한 번 돌아가보겠습니다. '공무원을 불법적으로 인사조치한 의혹 사건'. 즉 문체부 인사 개입 사건이 여기에 나와 있습니다.

이걸 수사하다가 인지된 관련 사건, 즉 블랙리스트는 수사 대상이 되는 겁니다.

[조현재/문체부 전 차관(2016년 12월 29일) : 새로운 장관한테 1급들 사표를 받았는데 특히 여기 (블랙리스트 관련) TF에 참여했던 1급들 3명이 결국은 나중에 사직당하게 된 그런 배경도 이와 관련이 돼 있지 않나, 이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앵커]

저건 조현재 전 문체부 차관이 뉴스룸 인터뷰에서 증언을 한 내용이죠. 내일 조윤선 장관이 소환된다고 하는데, 이렇게 수사가 속도를 내는 것만 봐도 블랙리스트 수사가 수사범위를 넘어섰다고 하기에는 조금 무리인 것 같은데요.

[기자]

그러니까요. 월권이라는 주장과 달리 법원에서 이미 김기춘, 조윤선 전 청와대 참모들의 압수수색의 영장을 발부했습니다. 그리고 김종덕 전 문체부 장관 구속영장 발부됐습니다. 법원이 영장을 내준 이유 사건으로 인정을 했다는 거죠.

그런데 이런 월권 논란 역대 특검에서 자주 등장했습니다. 이거 한번 보시죠.

'수사범위 등 싸고 공방 가열', 특히 '야당 "특검 파이팅"', '여당 "왜 그래 정말"'

이게 1999년에 옷로비 사건 때 기사 제목인데요. 당시의 야당 한나라당, 여당 국민회의였습니다. 지금과 입장이 정반대죠. 특검의 월권 논란, 수사범위 논란. 그래서 법이 아니라 정치적 논란이 아닐까, 이번에도 그런 생각이 드는 이유입니다.

[앵커]

주장하는 위치만 바뀌었는데요. 특검은 이와 무관하게 독립된 수사를 이어가야겠죠. 팩트체크 오대영 기자였습니다.

오대영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