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나이롱환자’ 뜨끔하겠군…보험사기 엄중 처벌

댓글 3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보험사기특별법 오늘 시행

보험사기 연 4조원대 추정

상습범·고액범 처벌 강화

미수에 그친 사기도 단죄

‘가벼운 접촉 사고여도 일단 입원하는 게 정답이다.’ 교통사고 피해자에게 주변에서 흔히 하는 조언이다. 아프지도 않으면서 입원한 속칭 ‘나이롱환자’ 중엔 죄책감을 갖기는커녕 이런 식으로 보험금을 탔다고 떠벌리는 경우도 많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앞으론 보험금을 노리고 함부로 환자 행세를 했다가는 큰코다칠 수 있다. 보험사기 행위에 대한 처벌을 강화한 보험사기방지특별법이 30일 시행된다. 그동안 보험사기는 일반 사기죄와 똑같이 10년 이하 징역 또는 2000만원 이하 벌금에 처했다. 특별법은 보험 사기죄를 10년 이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 벌금으로 다스린다.

이때 보험사기란 ‘보험사고의 발생·원인·내용에 관해 보험사를 속여 보험금을 청구한 행위’를 말한다(특별법 제2조). 실손보험으로 처리된다는 병원 측 안내에 혹해 미용시술을 도수치료로 진단명을 바꾸거나 교통사고로 범퍼가 긁혔는데 문짝까지 고치는 과잉수리를 하는 것처럼 흔히 저지르는 일도 명백한 보험사기 행위다. 특별법은 미수에 그친 보험사기도 처벌한다고 명시했다. 상습범이나 5억원 이상 이득을 취한 고액범은 가중처벌된다.
중앙일보

보험업계의 숙원사업이던 보험사기방지특별법은 국회에 2년 반 동안 계류됐다가 지난 3월 통과됐다. 보험사기가 계속 크게 늘어난다는 점이 그 배경이 됐다. 올 상반기 적발된 보험사기 금액은 348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증가했다. 보험연구원은 드러나지 않은 것까지 합치면 전체 보험사기 규모가 4조5000억원에 달할 걸로 추정한다(2014년 기준). 그 피해는 고스란히 일반 고객에게 돌아간다. 보험사기로 새는 보험금으로 인한 보험료 부담 증가분은 가구당 평균 23만원, 1인당 8만9000원으로 계산된다.

보험업계는 기대감을 나타낸다. 김영산 손해보험협회 팀장은 “그동안 ‘얼마나 어려우면 그랬겠느냐’라는 온정적인 시각 때문에 보험사기가 줄지 않았는데 앞으론 특별법으로 인해 국민 인식이 달라져 예방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 당국도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본다. 손주형 금융위원회 보험과장은 “얼마가 될지 예측은 어렵지만 보험사기가 줄어들 것”이라며 “새는 보험금이 줄면서 저렴하고 다양한 보험상품이 나올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중앙일보

하지만 특별법을 나쁜 의도로 활용하면 소비자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조연행 금융소비자연맹 대표는 “보험사가 보험금 지급을 줄이는 목적으로 특별법을 활용할 수 있다”며 “보험사기가 의심된다며 소비자를 압박해 보험금을 깎거나 소송을 남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특별법 시행령은 ‘보험사기로 의심할 합당한 근거가 있으면서 금융위에 보고하거나 수사기관에 고발한 경우’엔 보험사가 보험금 지급을 늦춰도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 ‘합당한 근거’라는 게 다소 모호하다. 보험연구원 송윤아 연구위원은 “통계적·객관적으로 보험사기 행위로 뚜렷하게 의심되는 경우가 무엇인지를 신중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별한 사유 없이 보험금 지급을 미루거나 거절·삭감하는 보험사에 부과하는 과태료는 최고 1000만원이다. 금융위 측은 건당 1000만원이므로 적지 않은 금액이라고 설명하지만 소비자단체에선 ‘엄벌’이라고 하기엔 약하다고 지적한다.

특별법 시행에 맞춰 10월 4일부터 ‘보험신용정보 통합조회시스템’도 개통된다. 별칭이 ‘보험사기다잡아’인 이 시스템은 생명·손해보험뿐 아니라 공제기관(우체국·새마을금고·신협·수협)의 가입자 정보를 각 보험사 심사 담당자가 한눈에 볼 수 있게 했다.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한애란 기자 aeyani@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