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목성 위성 유로파에 200㎞ 수증기 기둥… 힘 실리는 생명체 존재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증기 기둥 또 발견…액체 상태 물 현존 기대

2012년 이후 두 번째 포착

목성의 가장 큰 위성인 ‘유로파’에서 수증기 흔적이 3년 만에 다시 발견됐다. 물이 있을 가능성에 힘이 실리면서 생명체 존재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7일(한국시간) 허블 우주망원경이 2014년 1월 26일 관측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유로파 표면에서 높이가 200㎞에 이르는 거대한 수증기 기둥이 솟아올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유로파에서 수증기 기둥이 포착된 건 2012년 이후 두 번째다. NASA는 서로 다른 분석 기술을 썼는데도 같은 결론이 나온 만큼 수증기 기둥이 유로파 표면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사라지고 있을 것이란 학계의 추측이 사실일 확률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한국일보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와 보이저, 허블 우주망원경의 관측 데이터를 종합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만든 유로파 영상. 7시 방향 가장자리에 실루엣처럼 보이는 흰 부분이 허블 우주망원경이 포착한 수증기 기둥이다. NASA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일보

목성(왼쪽)의 위성 유로파에서 수증기 기둥(왼쪽 아래 가장자리)이 솟아오르는 모습을 표현한 상상도. 둘 사이 작은 천체는 화산활동이 잦다고 알려진 목성의 또 다른 위성 이오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유로파 표면은 두꺼운 얼음으로 덮여 있다. 목성이 끌어당기는 힘(조석력)이 유로파 내부에서 열에너지를 만들기 때문에 얼음 표면 아래에는 물이 존재할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특히 얼음 표면에 틈이 생길 때 갇혀 있던 물이 확 뿜어 나가면서 수증기 기둥이 만들어진다는 것이 과학계의 설명이다. 과학자들이 물에 주목하는 이유는 생명체 존재의 기본 조건이기 때문이다. 세포가 분열하고 성장하려면 고체나 기체가 아닌 액체 상태의 물이 반드시 필요하다.

유로파는 태양계에서 지구를 제외하면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천체로 꼽힌다. NASA는 지구 바다의 2배만한 물이 유로파 표면 아래에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변용익 연세대 교수는 “화성에서도 과거 물이 흘렀던 흔적이 발견됐지만 지금도 물이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NASA는 유로파와 목성 탐사에 공을 들이고 있다. 2011년 발사한 무인 탐사선 ‘주노’가 지난 7월 목성 궤도에 진입한 데 이어 허블 망원경의 뒤를 이을 제임스 웨브 우주망원경도 2018년 발사된다.

한편 NASA는 며칠 전부터 ‘중대 발표’를 예고했다. 일각에선 처음도 아닌 발견을 떠들썩하게 발표한 데 대해 NASA가 미 대선을 앞두고 전략적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임소형 기자 precare@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