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미군 주둔 한국만 위해서?…비용은 “한국 이미 70% 부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 논란

가장 중요한 목적이 중국 견제

한반도 방위군 성격 벗어난지 오래

주한미군사령관 “한 50% 부담” 불구

부동산 등 간접비용 합하면 65%

공시지가 5% 아래로 저평가

제대로 계산하면 “70% 넘어”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로 확정된 도널드 트럼프가 “국외 미군 주둔 비용을 모두 주둔국이 내야 한다”고 주장해, 한국이 미국에 내는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의 규모와 부담 비율 등에 관심이 쏠린다.

■ 주한미군은 한반도 방어만 맡나?

트럼프의 주장은, 주한미군은 한국을 지키려고 주둔하는 것이라 그 수혜자인 한국이 주둔 비용의 100%를 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주한미군 주둔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한국 방위보다 동북아에서 미국의 경제·정치·군사적 이익을 보호하려는 데 있음을 외면한 발언이라는 지적이 많다. 미국은 2011년 중국 견제를 위한 ‘재균형 정책’을 공식화한 뒤 오스트레일리아·필리핀 등에 미군을 순환 배치하고 있다. 주한미군도 2006년 1월 한·미 정부의 ‘전략적 유연성’ 합의 이후 한반도 방위만을 위한 붙박이군의 성격을 벗어난 지 오래다.

문제는 트럼프의 동맹국 ‘무임승차론’을 돌출적 발언으로만 치부할 수 있느냐는 점이다. 군 당국자는 6일 “막대한 재정적자로 방위비 삭감 압박을 받고 있는 미국의 상황 등과 맞물려 미국 내에서 동맹국들의 기여 확대 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다”며 “우리의 입장을 설득력 있게 설명할 논리 개발 등 대비가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국의 실제 부담률은 70% 이상

지난해 한국이 낸 방위비 분담금은 9320억원이다. 2014년 2월 타결된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 결과에 따른 것이다. 당시 합의 내용은 2014년 방위비 분담금을 9200억원으로 하되, 2014~2018년 5년간 소비자물가 인상분만큼 해마다 인상하도록 돼 있다. 방위비 분담금이 처음 도입된 1991년 1073억원에서 9배 늘어난 액수다.

미국은 방위비 분담금이 주한미군 주둔 비용의 절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빈센트 브룩스 주한미군 사령관은 지난 4월19일 미국 상원 인준 청문회에서 “한국은 지난해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을 통해 주한미군 주둔 비용의 50% 정도를 부담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국이 실제 부담하는 비용은 이보다 훨씬 많다. 한국 정부가 방위비 분담금 이외에도 부동산 지원, 각종 세금 및 공공요금 감면 등의 혜택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이다. 국내 시민단체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평통사)이 2013년 입수해 공개한 미국 국방차관실의 ‘2012회계연도 예산 운영유지비 총람’을 보면, 2010년 미국 국방부가 지출한 주한미군 주둔비 총액(미군 및 군속 인건비 제외)은 7억7330만달러(8939억원)다. 반면 한국 국방부의 국회 보고자료를 보면, 한국 정부는 같은 해 주한미군에 방위비 분담금 7904억원 말고도 카투사·경찰 지원, 부동산 지원, 기지 주변 정비 등 직접지원비 657억원과 토지임대료 평가, 제세 감면, 공공요금 감면, 도로·항만·공항이용료 면제, 철도수송 지원 등 간접지원비 8188억원을 지원해 총지원비가 1조6749억원에 이른다. 이에 따르면 한국이 주한미군 주둔 비용의 65.1%를, 미국이 34.9%를 부담하고 있는 셈이다.

유영재 평통사 미군문제팀장은 “이들 수치도 주한미군에 공여된 토지가 공시지가의 2.5~5%로 저평가된 수치”라며 “이런 점을 고려하면 우리가 실제 주한미군 주둔비의 70% 이상을 부담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

공식 SNS [페이스북] [트위터] | [인기화보] [인기만화] [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