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르포]갈 곳 없는 '핵폐기물'…"곧 포화상태"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첫 방폐장, 경주-한수원 '상생'이 모범사례될까]

머니투데이

월성원자력발전소 1~4호기/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18년이면 사용 후 핵연료를 저장하는 건식저장소는 포화상태가 됩니다"

지난 27일 찾은 경북 경주시 양남면 나아리. 문무대왕릉이 보이는 감포 앞바다를 지나 10여분을 더 달리자 월성원자력본부가 모습을 드러냈다.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소 중에 유일하게 가압식중수로방식으로 운영되는 월성 1,2,3,4호기가 나란히 자리해있고 그로부터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한국표준형 원자력 발전소 신월성 1,2호기가 위치해 있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하얀 콘크리트로 지어진 원통형 '건식저장소'. 원통형 모양의 '캐니스터', 직육면체의 콘테이너처럼 생긴 '맥스터'가 함께 들어서 있는 월성원전 건식저장소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총 9441톤의 '사용 후 핵연료'가 저장돼 있다.

중수로 방식으로 운영되는 월성원전의 경우 월성원전의 경우 발전소에서 발전을 마친 사용 후 핵연료는 평균 28℃로 유지되는 습식저장조에서 6년간 저장, 핵연료봉 온도를 60℃로 떨어뜨린 후 건식저장소로 옮겨진다.

그러나 월성원전의 건식저장소는 2018년이면 포화상태가 된다. 상황은 다른 발전소도 마찬가지. 고리, 한울, 한빛 발전소의 건식저장소의 저장률도 지난해 말 기준으로 각각 84.2%, 69%, 62.7%에 다다랐다.

머니투데이

사용 후 핵연료 건식저장소 캐니스터/사진제공=한국수력원자력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식저장소에서 자연냉각방식으로 사용 후 핵연료를 냉각시킨 후 영구보관장소인 방사성폐기물처리장에 최종적으로 매립돼야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아직 고준위 방폐장이 없기 때문이다. 중간 저장소를 더 늘리는 방법도 있지만 임시방편일 뿐이다.

지난해 경주에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이하 방폐장)이 경주에서 처음 가동됐지만 사용 후 핵 연료처럼 고준위방사성폐기물은 경주 방폐장에 묻을 수 없다.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사용한 작업복, 장갑, 부품 등 방사능 오염도가 상대적으로 적은 폐기물만 처분이 가능하다.

1978년부터 원전을 가동하기 시작해 현재 23기의 원전을 보유한 우리나라는 설비용량기준으로 세계 5위의 원전대국이다. 그러나 원전안전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폐기물처분장 문제가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중·저준위 방폐장만해도 2005년 경주로 최종 선정되기까지 주민반대 등으로 인해 19년의 세월이 걸렸다. 원래 정부는 중·저준위와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한꺼번에 처분하려고 했으나 2004년 방폐장 유치 찬·반을 두고 엄청난 사회적 갈등을 빚었던 '부안사태'를 거치면서 중·저준위 처분장만 경주에 입지시켰다.

처분 후 300년 정도 지나면 방사능이 대부분 안전한 수준으로 떨어지는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과는 달리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최소한 10만 년 정도가 지나야 자연상태로 돌아온다.

한수원 관계자는 "철저한 안전관리를 통해 방폐장 건립에서 경주가 모범사례가 돼야한다"고 설명했다. 경주 방폐장이 '혐오시설로 남느냐' '원자력과 국민들 간 심리적 간극을 줄일 수 있는 원전안전의 상징물이 되느냐'가 국내 첫 방폐장인 경주의 손에 달렸다는 의미다.

경주시와 한수원의 '상생'도 주요한 선행사례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현재 방폐장을 유치에 대승적 결정을 내려준 경주시민에게 보답하기 위해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정부는 정부는 55개 일반지원사업과 한수원 이전을 포함한 4개 특별지원사업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한수원 역시 원전협력기업 100개를 경주에 유치하기로 하는 등 지역 발전을 위해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이미 30여개 기업은 경주이전의사를 보인 상태다.

정부는 조만간 고준위 방폐장 건설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다시 시작할 계획이다.산업부 관계자는 "조만간 고준위 방폐장 건립을 위한 기본계획을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라며 "공청회를 열어 국민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구하는 자리를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세종=김민우 기자 minuk@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