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일반·지방高生 위한다는 '쉬운 수능'… 효과 없었다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쉬웠던 2007년, 어려웠던 2011년… 상위 학생 고교순위 차이 없어

전문가 "상대평가론 효과 미미… 절대평가 방식으로 바꿔야"

자사고·특목고 학생의 고득점 독식 현상을 방지하고, 일반고·지방 학생들도 수능에서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된 정부의 '쉬운 수능' 정책은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능을 쉽게 내더라도 일반고나 지방고 학생들에게 유리하지 않다는 것이다.

본지가 최근 10년간(2005~2015학년도) 수능 성적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쉬운 수능을 쳤든 어려운 수능을 쳤든 고득점이 많이 나온 고교 순위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문·이과 수능 상위 각 5000등 이내(서울 최상위권대 합격 가능 수준)에 드는 학생을 가장 많이 낸 상위 학교를 쉬웠던 수능과 어려웠던 수능으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비교적 쉬운 수능이었던 2007학년도 수능(국·영·수 평균만점자 비율0.85%)과 어려웠던 2011학년도 수능(만점자 0.21%)에서 상위 5000등 이내 수험생을 많이 배출한 고교는 2007학년도 수능에선 상위 10개교 모두 외고 또는 자사고였고, 2011학년도에는 10개교 중 9곳이 외고·자사고, 1개가 일반고였다. 상위 20개교로 보더라도 2007학년도 수능에선 일반고가 6개, 2011학년도엔 일반고 5개로 큰 차이가 없었다.

또 '물수능'으로 불릴 만큼 만점자가 많았던 2015학년도 수능(만점자 2.33%)과 이보다 어려웠던 2014학년도 수능(만점자 0.82%)에서 고득점자를 많이 낸 상위 20개교 중 일반고는 각각 4개로 동일했다. 수능 난도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이다.

이영덕 대성학력평가연구소장은 "현 수능 점수는 상대평가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난이도를 조정해 지방·일반고 학생들 성적을 높이려는 정책은 실효성을 거두기 어렵다"고 말했다. 수능 점수 체제를 절대평가 방식으로 바꿔야 쉬운 수능 정책이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박세미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