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8 (목)

은행 4시마감 논란…변형시간근로제 대안될까?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은행 "이미 공항 등 일부 점포서 하고 있어" vs 금융소비자 "더 늘려야 할 필요 있어"

아시아경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구채은 기자]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이 변형시간근로제 확대를 검토하겠다고 하면서 '은행 영업시간' 논란이 재점화되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이미 시장원리에 맞게 영업시간을 탄력적으로 하고 있다"면서 난색을 표하고 있는 반면 금융소비자들은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지난 13일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은 ‘일부 필요 지역’에서 운영 중인 변형근로시간제를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오후 4시면 문을 닫는 금융회사가 어디 있느냐"고 말한 것에 금융지주 회장으로서 처음으로 호응한 것이다.

다만 몇몇 시중은행들은 이러한 반응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이미 변형시간근로제를 고객 니즈에 따라 필요한 점포에 한해 충분히 시행하고 있는데 이를 전 지점으로 확대하는 것은 비용낭비라는 주장이다. 일반 지점의 평일 근무시간이 오전 9시∼오후 4시이지만 특수점포는 오후 6시까지 근무한다.

예컨대 신한은행은 안산 원곡동과 공항출장소 등 69개 특수점포에서, 우리은행은 공항출장소 등 36개 점포에서 근무시간을 탄력적으로 운영한다. 공항의 경우 비행시간을 감안해 오전 6시부터 오후 9∼11시까지 직원들이 3교대를 한다. KB국민은행은 서울 서초구 우면동지점 등 고객과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위주로 오후 7시까지 애프터뱅크를 운영하고, 외국인이 많은 지역에선 주말에도 외화송금센터를 열고 있다.

이외에도 구청이나 남대문 시장, 직장인이 많은 선릉역 주변 등을 비롯해 전체 지점의 10%내외에서는 '탄력적 근무 시간제'를 운영하고 있다. 주말근무를 하거나 영업점 시간을 연장하는 방식이다. 시중은행 한 부행장은 "정부에서 이야기하지 않아도 시장원리에 따라서 고객의 필요가 있다면 은행들이 직접 탄력적 근무시간제를 하고 있다"면서 "지역특성에 맞게 지점마다 도입하고 있는데 전면도입까지 갈 필요성까진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 시중은행 지점장도 "기본적으로 은행은 마감 후 시재(은행에 수납된 돈)가 전표와 맞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해야 하고, 일부 부서에 따라 영업점 문을 닫고서부터 시작되는 업무가 많다"면서 "모든 지점에 변형시간근로제를 확대하게 되면 시간외수당이 늘어나 은행인건비에 더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변형시간근로제가 근무시간만 자의적으로 늘리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홍석환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 정책기획부국장은 "지금도 영업점이 문을 닫고 나서 퇴근시간이 10시가 될지 11시가 될지 분명치 않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탄력적근무시간제를 도입하면 노동시간만 임의로 연장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여론이다. 금융소비자들은 은행 영업시간 확대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대구에 사는 직장인 박모(34씨)씨는 "신용대출을 받고 싶어서 상담을 가려고 해도 점심시간 가면 대기표도 길어서 불편을 겪었던 적이 많다"면서 "모바일을 통한 간편대출이 아무리 발전한다고 해도 나이가 많거나 당장 급한 대출을 받아야 할땐 은행창구를 찾게 되는데, 영업시간을 맞추기가 어려웠다. 늦게까지 운영하는 점포가 10%내외면 소비자 입장에서 체감하기가 어렵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구채은 기자 faktu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