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건강기능식품 불편한 진실]비타민 효과 ‘갑론을박’… 칼슘제 되레 ‘혈관에 독’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비타민C·E·베타카로틴 보충제

감기·암·노화예방… 먹으나마나


노벨 화학상과 평화상을 수상한 미국 물리화학자 라이너스 폴링(1901~1994)은 비타민C 예찬론자였다. 비타민C가 감기를 예방하고 심장병이나 암에 좋은 것은 물론 노화방지 효과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100명의 말기암 환자에게 1만㎎의 비타민C를 10일간 주사하고 이후부턴 알약 형태로 복용케 했다. 그 결과 20~30년 전 말기암 진단을 받은 1000명의 환자에 비해 비타민C를 투여한 이들의 생존율이 4.2배나 높았다고 ‘미국 국립과학원회’에 보고했다. 그러나 에드워드 크리어건 박사팀과 찰스 모어텔 박사팀이 ‘뉴잉글랜드 의학저널(NEJM)’에 1979년과 1985년 발표한 임상시험 결과는 전혀 달랐다. 이들은 각각 123명, 100명의 진행성 암환자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하루에 비타민C를 알약 형태로 1만㎎ 복용시키고, 다른 그룹은 위약(플라시보)을 먹게 했다. 그 결과 양쪽의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

의학계는 두 연구 결과의 현격한 차이를 폴링의 임상시험 비교 대상이 동시간대 암환자들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해석한다. 현재의 암환자들은 20~30년 전 환자에 비해 훨씬 좋아진 항생제와 영양주사의 도움을 받기 때문에 두 그룹의 생존기간에 차이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알약 형태와 주사라는 투여 방법의 차이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임상적 효과가 뚜렷하지 않아 설득력이 떨어진다. 비타민C의 감기 예방 효과도 ‘없음’으로 나타났다. 2012년 11월 ‘코크란 라이브러리’에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29편의 임상시험 연구를 메타분석한 것으로 평소 200㎎ 이상의 비타민C 복용군과 위약 사용군 사이에 감기 발생 빈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미국 질병예방서비스특별위원회는 암이나 심혈관질환 예방 목적으로 비타민 보충제를 일상적으로 복용하는 데 대해 ‘근거가 불충분하다’며 권고하지 않는다. 특히 베타카로틴 보충제·비타민E는 사용해선 안된다고 강력 권고한다. 미국암협회도 항암치료 중엔 보충제를 피할 것을 권하고 있다.

경향신문

■ 글루코사민

관절염 통증엔…차라리 소염진통제


연골 구성 성분인 글루코사민이나 콘드로이틴이 연골 손실 및 관절기능과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2010년 발표한 메타분석에 잘 드러나 있다.

연구원은 글루코사민 제제의 골관절염 치료 효과를 다룬 기존 임상시험 연구 20편을 메타분석한 결과 ‘치료 효과가 있다는 근거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콘드로이틴 성분 또는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 복합 성분의 제품도 ‘효과가 있다고 볼 만한 근거가 부족하다’고 발표했다.

이보다 앞선 2000년 ‘미국의학협회지(JAMA)’에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의 효능에 관한 메타분석 내용이 실렸다. 15편의 임상시험 연구를 종합한 결과였는데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 모두 골관절염의 통증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오긴 했다. 하지만 질적 수준이 높은 연구들만 합쳐 분석한 결과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시험들의 신뢰도를 떨어뜨린 원인은 또 있었다. 15편 중 13편의 임상시험 연구가 글루코사민이나 콘드로이틴 제조사로부터 연구비 지원을 받았고, 일부 논문의 작성자는 제조사와 관계가 있는 사람이었다.

2006년 ‘뉴잉글랜드 의학저널’에 게재된 미국인 관절염 환자 1583명의 글루코사민 효과 임상시험 결과도 흥미롭다. 5개 그룹으로 나눠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위약군(313명)의 60.1%, 글루코사민군(317명)의 64.0%, 콘드로이틴군(318명)의 65.4%, 글루코사민과 콘드로이틴을 모두 복용한 그룹(317명)의 66.6%, 소염진통제를 섭취한 그룹(318명)의 70.1%가 통증이 완화됐다고 답했다.

■ 오메가3 지방산

등푸른 생선으로 섭취하는 게 좋아


오메가3는 고등어·연어·참치·청어·꽁치 같은 등 푸른 생선, 호두·올리브유·콩류·아마씨 등에 많이 들어 있다. 2004년 ‘미국심장학저널’은 14편의 코호트 연구와 5편의 환자-대조군 연구를 종합해 메타분석한 결과 ‘생선을 섭취하는 사람들이 전혀 먹지 않거나 거의 먹지 않는 사람들보다 관상동맥질환의 빈도가 14% 정도 낮았다’는 논문을 게재했다.

오메가3 보충제는 어떨까. 2012년 5월 ‘미국의학협회지 내과(JAMA Internal Medicine)’에 명승권 국제암대학원대 교수의 메타분석 결과가 실렸다. 명 교수는 1995년부터 2010년까지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오메가3 보충제 효과에 대한 임상시험 결과들을 종합 분석했다. 임상시험 대상은 심혈관질환을 앓은 적이 있는 사람들로 모두 2만485명에 달했다. 분석 결과 EPA와 DHA 같은 오메가3 보충제를 먹어도 돌연심장사, 울혈성 심부전,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발생이나 사망 가능성이 낮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분석에 활용된 논문 14편의 임상시험엔 오메가3와 위약이 사용됐고, 연구자와 연구 대상자들이 오메가3 보충제인지, 위약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진행한 시험이었다.

그렇다면 심혈관질환이 없는 건강한 일반인이 오메가3를 복용하면 예방효과가 있을까.

현재로선 있다, 없다를 논하기 어렵다. 이와 관련된 임상시험 연구결과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 칼슘보충제와 비타민 D

골절예방 도움, 심혈관질환 더 위험


칼슘을 음식으로 섭취할 때는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지 않지만, 보충제 형태로 복용하면 심혈관질환 발병 위험도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많다. 수년 전부터 유수한 논문들이 잇따라 발표됐다. 2010년 ‘영국 의학저널’에 칼슘 보충제를 복용한 사람들의 심근경색 발병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1.27배였다는 메타분석 결과가 실렸다. 앞선 연구에선 1000명이 5년간 칼슘 보충제를 복용할 경우 26명이 골절 예방을 할 수 있지만 심근경색 14명, 뇌졸중 10명, 사망자 13명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추산됐다.

2013년 ‘미국의학협회지 내과’에 실린 대규모 관찰연구도 주목할 만하다. 미국 여러 주에서 50~71세인 38만여명의 남녀를 평균 12년간 관찰했다. 그 결과 칼슘 보충제를 복용한 남자 그룹의 심혈관질환 발병률이 복용하지 않은 그룹의 1.2배였다. 보충제가 아닌 음식을 통한 칼슘 섭취는 남녀 모두에게서 심혈관질환 발생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해 ‘영국 의학저널’엔 6만여명의 스웨덴 여성을 대상으로 19년간 관찰한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보충제로 칼슘을 섭취할 때 사망률이 2.6배 높은 것으로 나왔다.

비타민D 보충제는 효능이 있을까. 2014년 1월 의학학술지 ‘랜싯’에 23편(총 4082명)의 기존 임상시험 연구를 리뷰한 내용이 실렸다. 6편만 비타민D 복용이 골다공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결론 내렸다. 15편은 효과가 없다고 했고, 2편은 오히려 해로운 것이라고 했다.

미국 질병예방서비스특별위원회는 2013년 2월 ‘골절을 예방할 목적으로 칼슘 보충제나 비타민D를 복용하는 것은 임상적 근거가 불충분하므로 권고하지 않는다’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글 박주연 기자 jypark@kyunghyang.com·사진 정지윤 기자 color@kyunghyang.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