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먼저 간 공동저자’ 아내에게 바치는 논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면역세포 연구 류성호-도윤경 부부

부인 난소암으로 석달전 숨져 남편이 면역세포 연구 마무리

세계적 학술지 ‘셀 리포트’ 실려

[동아일보]
동아일보

故도윤경 UNIST 교수(왼쪽)와 남편인 류성호 순천향대 의생명연구원 교수. UNIST 제공


올해 3월 난소암으로 44년 삶을 마감한 고 도윤경 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이 세계적인 생명과학 분야 학술지 ‘셀 리포트’ 6월 30일 자에 실렸다. 포스텍 생명과학부 91학번인 도 교수는 국비장학생으로 2003년 미국 버지니아대 의대로 유학을 가서 면역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 랠프 스타인먼 미국 록펠러대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던 2009년 UNIST 교수로 부임했다. 스타인먼 교수는 인체 면역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수지상세포를 발견한 공로로 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으나 수상하기 3일 전 췌장암으로 유명을 달리한 인물이다.

도 교수가 남긴 연구 성과 또한 수지상세포와 관계가 깊다. 연구팀은 수지상세포 중 한 종류(CD8 α-수지상세포)가 아직 분화되지 않은 다른 면역세포인 T세포를 ‘폴리큘라 헬퍼 T세포(Tfh세포)’로 분화시키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Tfh세포의 존재는 면역학자들에게는 익히 알려져 있었지만 이 세포가 어떤 과정을 통해 생겨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Tfh세포는 인체에 침입한 병원체를 기억해 같은 병원체가 다시 침입했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는 면역세포인 B세포 분화를 촉진한다.

공동 교신저자이자 도 교수의 남편인 류성호 순천향대 의생명연구원(SIMS)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백신을 개발할 수 없었던 병원체나 에이즈처럼 한 번 감염된 뒤에도 항체가 잘 생기지 않는 난치성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가 실린 논문이 완성된 건 1년 전이지만 심사 과정에 여러 차례 추가 실험 요구에 따라 지난달 30일에야 비로소 빛을 볼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도 교수는 올해 1월 이후 몸 상태가 급격히 나빠진 이후에도 연구를 계속했다. 또 방사선 치료를 받는 중에도 상태가 호전되면 꾸준히 실험실을 찾았다고 류 교수는 전했다.

조윤경 UNIST 생명학부장은 “도 교수를 그리워하는 이들이 UNIST에 많다”며 “도 교수가 면역학 연구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온 만큼 아쉬움이 크다”고 밝혔다.

이우상 동아사이언스 기자 idol@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채널A 종합뉴스]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