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7 (수)

단통법, 아이폰 판매만 늘렸다…점유율 40% 넘었다

댓글 1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휴대폰 제조업계 "LG전자 프리미엄폰 점유율 하락…보조금 상한액 높여야"

뉴스1

서울 시내 한 휴대폰 판매매장에서 점원이 손님에게 신규가입 절차를 안내하고 있다. 매장에는 '아이폰6 즉시개통' 문구가 걸려있다. © News1 정회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맹하경 기자 = 지난해 10월부터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단통법)'이 시행된 이후 애플 '아이폰' 국내 점유율이 28% 포인트 가까이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폰에 자리를 뺏긴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산 휴대폰 시장점유율은 상대적으로 쪼그라들어 대조를 보였다.

3일 시장조사기관 아틀라스리서치앤컨설팅에 따르면 '아이폰' 점유율은 지난해 10월 6.6%에서 11월 34.2%까지 급등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는 68.3%에서 47.7%로 줄었고, LG전자는 22.1%에서 11.5%로 내려앉았다. 단통법 시행전 연간 1200만대에 달하던 국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규모가 단통법 시행 후에는 600만대 수준으로 줄어든 가운데 국산 휴대폰이 유독 타격을 받았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18일 방송통신위원회가 삼성전자, LG전자, 이동통신3사, 휴대폰 유통협회 등을 모아 개최한 '제1회 이통시장 안정화 협의회'에서도 국산 휴대폰 제조사들은 위기감을 피력했다. 이들은 특히 현행 단통법에 33만원으로 정해놓은 지원금(보조금) 상한액 때문에 가격경쟁력이 현저히 떨어졌다고 강조했다.

국산 휴대폰 보조금과 아이폰에 대한 보조금 격차가 크게 나지 않으면서 아이폰 구매를 결정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실제로 3일 기준 SK텔레콤의 보조금을 비교해보면 갤럭시S6가 15만9000원이고, 아이폰6는 14만1000원으로 별 차이가 없다. 이를 기준으로 월정액 6만원대 요금제에 가입하면 삼성전자 '갤럭시S6'(64GB)는 보조금을 지원받아 76만5000원에 살 수 있고, '아이폰6'(64GB)는 78만3000원에 살 수 있다. LG전자 'G4'는 24만원의 보조금을 받아 58만5000원에 살 수 있다.

관련업계 한 관계자는 "안정화 협의회 자리에서 LG전자는 상황의 심각성을 구체적으로 말했다"며 "보조금 액수를 정부가 규제하면서 시장 활력이 현저히 떨어졌고 이로 인해 LG전자 내부에선 위기의식이 팽배해지고 있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국내 3위 제조사였던 팬택이 이통3사 영업정지에 이어 단통법까지 겪으면서 경영이 악화됐고, 결국 청산위기로까지 내몰린 것"이라며 "현재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선 보조금 상한제를 폐지해 숨통을 틔워줘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라고 강조했다.

7월 현재 애플의 국내 시장점유율은 40%를 넘어섰고 LG전자의 최신 프리미엄 스마트폰 'G4'는 한자릿수까지 떨어진 것으로 업계는 관측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애플 점유율이 '아이폰6'와 '아이폰6플러스' 출시후 상승했다가 최근 단통법 이전으로 회복됐다고 반박하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삼성전자 점유율은 63.4%, LG전자는 20.9%다. 애플은 13.1%다.

그러나 국내 휴대폰 제조사들은 정부의 이같은 분석은 전체 휴대폰 시장을 분석한 것일뿐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만 놓고보면 상황이 다르다고 주장하고 있다. 제조사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와 LG전자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려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만 따로 떼서 분석해야 한다"면서 "5월 기준으로 판매 점유율을 보면 삼성전자 56%, 애플 43%"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10월 삼성전자, LG전자, 애플의 판매 점유율은 각각 66%, 22%, 12%였다. 삼성전자와 LG전자 점유율은 10~20%포인트 하락했고 애플은 3.5배 이상 폭등한 것이다.

관련업계는 현재 33만원으로 제한해놓은 보조금 상한액을 높이는 게 현실적 대안이라고 입을 모은다. 업계 한 관계자는 "보조금 상한제 폐지는 법 개정이 있어야 가능하지만 50만원 정도로 상한액수를 올리는 건 방통위 고시 개정으로 충분히 가능하다"면서 "규제 완화와 시장활성화 차원에서 상한액을 높이는 게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방통위 한 관계자는 "단순히 단통법 때문에 상황이 안좋아진 게 아니라 경영방식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할 수 있다"며 "보조금만 이용하려는 것보다 출고가를 더 낮추는 등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단통법이 국내 휴대폰 산업에 타격을 준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며 "국내 이통시장은 2010년부터 포화돼 2011년을 기점으로 휴대폰 판매량과 가입추이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며, 점유율 변동은 다양한 요인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덧붙였다.

hkmaeng@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