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0 (토)

'자유 출퇴근' 유연근무제…열명 중 세명은 쓰고 싶어도 못쓴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세종=뉴시스】이예슬 기자 = # 회사원 S씨(33세·여)는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회사로 이직한 후 삶의 질이 높아졌다.

출근 시간은 8~11시, 퇴근은 오후 5~8시에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오전 11시에 출근했다면 오후 8시에 퇴근하는 식이다. 출퇴근 시간 러시아워를 피할 수도 있고 병원을 가거나 관공서에서 일을 처리해야 할 때 붐비는 점심시간이 아닌 한가한 오전 시간대에 방문할 수 있어 만족도가 높다.

정부가 2010년 공공기관 유연근무제를 시범 도입한 이래 민간으로도 확산되는 추세지만 우리 사회에서 유연근무제 정착은 아직도 딴나라 이야기처럼 보인다.

유연근무제는 시간과 장소를 탄력 운용해 근무하는 형태다. 재택근무를 하거나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등의 근로 유형이다.

노동시간은 길지만 생산성은 낮은 우리 경제의 고질적 병폐를 해소하고 여성에게 근로 기회를 부여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는 취지로 공공부문부터 도입됐다. 금융권과 외국계 기업을 중심으로도 확산되는 추세다.

하지만 대부분의 직장인들에게 S씨 같은 생활 패턴은 꿈 같은 이야기다.

◇유연근무제 근로자, 1년새 겨우 0.2%p 증가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지역별고용조사 부가항목 조사결과-2014년 하반기 맞벌이가구 및 유연근무제 활용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 10월 현재 전체 임금근로자 중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근로자는 309만5000명이다.

1년 전(297만명)에 비해 12만5000명 늘어난 수치지만 유연근무제를 선택한 이들은 전체 근로자 중 16.3% 수준에 불과하다. 2013년 10월 16.1%에서 소폭 증가한데 그친 것이다.

유연근무제가 실질적으로 고착되기 어려운 이유는 장시간 근로를 미덕으로 생각하는 경직된 근로문화 때문이다. 한국 직장 특유의 '눈치 보기 문화'도 한 몫 한다. 빨리 출근해봐야 빨리 퇴근하는데 눈치가 보인다면 활용을 안 하느니만 못하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다.

제조 생산과 영업이 주가 되는 회사에서는 현실적 어려움도 발생한다. 다른 직원과의 협동이 중요한 업종 및 직무라면 각자의 근무 시간이 다르다면 일을 처리하는 속도와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꺼리게 되는 경우도 있다.

◇근로자 10명 중 3명은 "유연근무제 하고 싶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싶어도 못 쓰는 근로자들이 많았다. 임금근로자 중 향후 유연근무제를 택하고 싶어하는 이들은 34.2%나 됐다.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여성의 연령별 고용률 추이는 30~40대를 최저점으로 하는 M자 커브 형태를 보인다. 결혼 연령기인 29세 이전까지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다 출산·육아기인 30~34세에 최저점으로 하락해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단절 현상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최근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기혼 직장여성 7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회사에 가장 바라는 출산·육아 관련 복지는 유연근무제(54.4%)였다. 눈치 없이 쓸 수 있는 육아휴직(49.2%)보다 더 많이 꼽힌 것이다.

이 때문에 육아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큰 여성들이 남성보다 유연근무제를 택하는 비율이 월등히 높을 것 같지만 통계청 조사 결과 유연근무제를 원하는 비율은 여성이 37.8%, 남성이 31.8%로 나타났다. 의외로 차이는 크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이렇다.

만약 S씨 회사에 사내 부부가 있다고 가정해 보자. 엄마는 8시까지 출근하더라도 아빠가 출근 시간을 늦춰 아이를 어린이집에 데려다 준다. 늦게 퇴근하는 아빠 대신 5시에 퇴근한 엄마가 아이를 데리러 가 맞벌이 부모를 둔 아이도 어린이집에 혼자 늦은 시간까지 남겨지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이런 경우라면 육아에 대한 양가 부모님의 도움이 없더라도 비교적 수월하게 아이를 키우는 게 가능하다. 고학력 여성이 육아를 이유로 그동안 쌓아 놓은 경험을 포기하는 일이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이다. 자연스레 가정 내 경제적 부담이 남성에게로만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혜림 LG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고학력 여성 경력단절에 따른 개인적, 국가적 손실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며 "저출산을 막고 고학력 여성 인력을 활용하기 위한 유연근무제 도입, 탄력 근무시간제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ashley85@newsis.com

★ 뉴시스 뉴스, 이젠 네이버 뉴스 스탠드에서도 만나세요
★ 손 안에서 보는 세상, 모바일 뉴시스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