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5 (목)

배우자 있는 가구의 43.9%가 맞벌이 한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50대· 60대이상 연령층서 가장 많이 증가

유연근무제 활용 근로자 5.4% 불과

연합뉴스

(세종=연합뉴스) 이광빈 박초롱 기자 = 배우자가 있는 가구 10곳 중 4곳 이상이 맞벌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와 60대 이상의 맞벌이 가구가 1년 사이에 눈에 띄게 늘었다.

또 정부가 저출산 문제 해소 방안의 하나로 유연근무제 확산 정책을 펴고 있지만 활용 근로자 비율은 5.4%(시간제근로 제외 기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30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4년 하반기 지역별고용조사 부가항목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 지난해 맞벌이 가구, 전년보다 2.6% 증가

지난해 배우자가 있는 1천182만5천 가구 중에서 맞벌이 가구는 518만6천 가구(43.9%)로 조사됐다.

2013년 505만5천 가구보다 2.6%(13만1천 가구) 증가한 것이다.

연령대별로 60대 이상이 6.7%로 가장 많이 늘었다. 50대가 4.7%로 뒤를 이었다.

40대는 0.2%로 소폭 증가했고, 30대와 15∼29세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각각 0.4%와 7.1% 줄었다.

지난해 배우자가 있는 가구 중 맞벌이 가구 비율을 전년(42.9%)과 비교하면 1.0%포인트 늘어났다.

배우자가 있는 가구 중 맞벌이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세대는 40대로 51.8%에 달했다.

50대가 51.3%로 뒤를 이었고, 30대가 42.1%, 15∼29세가 37.4%, 60대 이상이 29.6% 순이었다.

교육수준별로는 배우자가 있는 가구 중 고졸은 45.4%, 대졸 이상은 43.8%, 중졸 이하는 41.2%가 맞벌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 가구의 교육정도별 구성비를 보면 대졸 이상이 42.2%를 차지했고, 고졸은 38.9%, 중졸 이하는 18.9%로 집계됐다.

맞벌이 부부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남자가 46.8시간으로 여자(41.4시간)보다 5.4시간을 더 일했다.

가구주가 취업자인 가구 중 맞벌이 가구 비율은 53.8%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가구주가 농림·어업에 종사할 경우 84.0%가 맞벌이를 했다.

도소매·숙박음식업에 종사하는 경우도 맞벌이를 하는 경우가 59.8%로 높은 편이었다.

맞벌이 가구 중 466만2천 가구는 동거를 했고, 52만4천 가구는 주말 부부 등으로 떨어져 살았다.

동거 맞벌이 가구 중 부부가 같은 산업에 종사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업종은 농림·어업(84.3%)이었고, 도소매·숙박음식점업(60.2%)이 뒤를 이었다.

시도별로 맞벌이 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61.5%)였다. 이어 전남(56.5%), 경북(53.1%), 충남(52.6%), 충북(51.7%), 전북(50.8%) 순으로 비중이 높았다.

울산과(37.9%)과 서울(37.8%), 부산(37.3%)은 30%대로 낮은 편이었다.

◇ 임금근로자 16% 유연근무제 활용…1년 새 12만5천명↑

우리나라 임금근로자의 16%가 시간제 근무, 자율 출퇴근제 등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현재 임금근로자 1천894만5천명 가운데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근로자는 309만5천명으로 1년 새 12만5천명 증가했다.

활용 근로자 비중은 16.3%로 1년 전과 비교해 0.2%포인트 상승했다.

유연근무제 유형으로 보면 주당 근로시간이 30시간 이하인 시간제근로가 66.6%로 가장 많다.

출퇴근 시간을 자유롭게 조정하는 시차출퇴근제(11.4%), 하루당 근로시간을 자율적으로 조정해 매주 소정의 근로시간을 채우는 선택적 근무시간제(9.6%), 일이 많은 시기의 근로시간을 늘리고 적은 시기에는 줄여 소정 근로시간을 맞추는 탄력적근무제(7.0%)가 뒤를 이었다.

시간제근로를 제외한 각 유연근무의 비중을 1년 전과 비교하면 선택적근무시간제 비중은 3.5%포인트 상승했지만 시차출퇴근제(-2.3%포인트)와 탄력적근무제(-1.2%포인트)는 하락했다.

역시 시간제근로를 제외하고 살펴보면 여자(6.2%)가 남자(4.9%)보다, 기혼(5.6%)이 미혼(4.9%)보다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30대와 60대 이상의 유연근무제 활용 비중이 5.6%로 가장 높았다. 40대와 15∼29세는 각각 5.4%, 5.3%였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 있지 않은 임금근로자 가운데 앞으로 이 제도를 활용하고 싶다고 응답한 근로자는 34.2%였다.

선택적근무시간제(28.2%), 탄력적근무제(24.5%), 시차출퇴근제(19.1%) 순서로 선호도가 높았다.

한편 지난해 10월 현재 비취업자(1천669만5천명) 중에서 시간제근로 일자리가 있다면 취업을 하고 싶다는 사람은 181만9천명(10.9%)으로 조사됐다.

전일제 일자리가 있더라도 시간제일자리를 택하겠다는 사람이 55.6%로 절반을 넘어섰다.

lkbi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