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차이나머니 밀물…중국, 연내 1위 한국채 보유국 부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中 외환보유고로 원화채 계속 사들여…미국자금 추월할 듯

장기투자인 점은 긍정적…"中 자금 이해도 높여야" 지적도

(서울=연합뉴스) 김지훈 이지헌 기자 = 국내 채권시장에 '차이나 머니'가 계속 유입되면서 조만간 중국이 미국을 제치고 한국채권 보유국 1위 자리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 자본 대부분이 국가기관 위주의 장기투자성 자금이라는 점에서 국내 채권시장의 안정성 측면에서는 긍정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중국 자본의 이동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상황에서 채권시장에 중국의 영향력이 갈수록 커질 경우 또다른 위험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24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4월말 현재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상장채권 보유액은 총 102조7천억원으로, 전달보다 1천억원 증가했다.

외국인의 원화채권 보유잔고는 지난해 11월 100조원을 넘어선 뒤 올해 들어서도 매달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중국계 자금의 흐름이다.

금융감독원의 월별 동향자료를 보면 미국인이 올해 1~4월 국내 채권에 1천700억원을 순투자한 반면, 중국인은 같은 기간 약 2조원을 순투자했다.

미국인의 채권자금은 국제금융시장 동향에 따라 국내에 순유입하기도 순유출하기도 했지만, 중국인은 작년 8월 이후 꾸준하게 순유입을 유지했다.

이런 움직임은 국내 채권 1위 보유국인 미국과 2위 보유국인 중국 간에 보유 비중의 변화로도 이어졌다.

전체 외국인 보유채권 잔고가 작년 4월 96조4천억원에서 올해 4월 102조7천억원으로 6.6% 증가한 가운데, 미국인 잔고는 18조8천억원으로 변동이 없었다. 이 때문에 미국인 보유 채권의 비중은 같은 기간 19.5%에서 18.3%로 감소했다.

반면 중국인은 이 기간 채권 보유액을 13조1천억원에서 16조7천억원으로 27.6%로 늘려 보유 비중도 13.6%에서 16.3%로 커졌다.

이런 추세가 지속한다면 올해 안에 채권보유 비중 1·2위 순위가 뒤바뀔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지만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인의 원화 채권 매입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이런 추세를 보면 11월에는 보유 비중 1·2위 순위가 미국과 뒤바뀔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과 중국의 국내 채권보유 비중 변화는 국제금융시장의 여건 변화와 중국 정부의 보유외환 다변화 정책이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미국은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정상화 계획 발표 이후 해외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을 늘릴만한 유인이 줄었다.

실제 프랭클린템플턴자산운용 등 국내 채권을 주로 샀던 미국계 펀드를 중심으로 원화채 수요가 줄면서 미국인의 국내 채권 투자는 정체했다.

반면 중국은 미국 국채에 쏠렸던 외환보유고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과정에서 안정적인 장기 투자처로 한국을 택하면서 원화채 보유 비중을 늘렸다.

이정욱 한국은행 자본이동분석팀장은 "한국은 경상수지 흑자와 양호한 재정수지를 바탕으로 대외 건전성이 좋아지면서 외국인에게 매력적인 투자처가 됐다"며 "특히 중국은 한중 관계가 좋아지고 원·위안화 직거래시장까지 개설되면서 투자 유인이 더 커졌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인 채권자금이 중앙은행과 국부펀드를 중심으로 이뤄졌다는 점은 위기 때마다 급격한 자금 유출을 반복하며 외국인의 '현금인출기' 노릇을 해왔던 국내 채권시장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정욱 팀장은 "소규모 개방경제인 우리 입장에서 글로벌 요인으로 급격한 자본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에 대해 항상 경계해야겠지만, 중국 중앙은행처럼 안정적인 장기 투자 주체의 비중이 커진 것은 시장 안정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한국 금융시장이 늘 우려하는 것은 자금의 급속한 유출입인데, 외환보유고를 중심으로 들어오는 중국 자금은 그런 측면에서 안정적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국내 자본시장에서 중국의 부상이라는 새로운 질서에 하루빨리 적응해야 한다는 경고의 목소리도 들린다.

지만수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에서 자금 유출입을 늘 모니터링하고 있는 미국이나 유럽 자금과는 달리 중국 자금은 어디로 흐를지 방향을 짐작할 수 없는 위험을 지녔다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당국의 허가를 받은 기관만이 해외투자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변화 등 경제 외 변수로 움직임이 뒤바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중국 자금이 어떤 메커니즘으로 움직이는지 이해도를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pa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