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공짜손님·스마트폰 때문에" 서울지하철 4200억 적자

댓글 8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무임승차 손실 전체 적자 67.8% 차지

스마트폰 대중화로 지하철 광고 타격

"적자 개선, 무임승차제도 재검토해야"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 서울 지하철이 늘어나는 공짜손님 탓에 적자 폭이 계속 확대되면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요금인상을 필두로 지하철 운영기관 통합, 부대수익 확대 등 해법 마련에 나섰지만, 만성적 적자 구조를 해소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평가다.

서울 지하철 운영사인 서울메트로(1~4호선)와 도시철도공사(5~8호선)는 지난해 4200억원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다. 서울지하철의 수익구조 개선을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데일리

◇서울지하철 적자 규모 2년 연속 증가

1일 서울메트로와 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양 공사는 2012년 총 3716억원의 적자를 기록한 후 2013년 -4172억원, 지난해 -4250억원으로 2년 연속 적자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이데일리

메트로의 경우 지난해 1587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규모가 전년(-1295억원)대비 292억원(22.5%) 확대됐다. 메트로 관계자는 “지난해 퇴직금 누진제를 폐지하면서 이에 따른 임금 감소분 일부(약 50%)를 보전, 일시적으로 적자 규모가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그나마 도시철도공사는 지난해 2658억원의 순손실을 기록, 전년도 순손실 2877억원 대비 적자 폭을 219억원(7.6%) 줄였다. 역사 개발에 따른 점포 분양 등 부대사업 수익이 증가한 덕이다.

지하철 적자 확대는 인구 고령화에 따른 무임승차 증가와 무료 환승제 영향이 결정적이다. 지난해 무임승차로 인한 양 공사의 손실액은 메트로 1740억원(전체 손실액의 110%), 도시철도공사 1140억원(42.9%)으로 총 적자의 67.8%를 차지했다. 65세 이상 노인과 장애인 등은 전국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서울시, 지하철요금 300원 인상 추진

서울시와 두 공사는 적자폭을 줄이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서울시는 내년까지 두 공사를 통합해 운영비용을 최소화하기로 한데 이어 요금 인상을 추진 중이다. 지하철 요금은 지난 2012년 2월 150원을 인상한 뒤 3년째 동결됐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해 말 대중교통 요금을 2년마다 한차례 인상할 수 있도록 한 조례를 제정했다. 요금 인상 폭은 300원선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시는 2007년 4월 이후 동결됐던 청소년 요금(현행 720원)과 어린이 요금(450원)을 인상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경기도, 인천시와 요금 조정안에 대해 논의 중이다. 서울시는 합의안이 마련되면 시의회 의견 청취 등을 거쳐 이르면 상반기 요금 인상을 단행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 도시교통본부 관계자는 “운송기관의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어 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의 현실화는 불가피하다”며 “중앙정부(국토교통부)와도 대중교통 요금 현실화에 대한 실무적 합의를 마친 상태”라고 말했다.

◇ 스마트폰 대중화로 광고매출 감소

적자 확대에는 광고 매출 감소도 한몫을 했다. 스마트폰 대중화로 열차 내 광고는 거의 판매가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역사 내 광고 또한 비슷한 처지다.

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차량 내 광고는 아예 팔리지 않아 공익광고 위주로 집행하고 있다”며 “광고주들을 유인하기 위해 새로운 광고기법 개발에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양 공사는 △IT를 활용한 신매체 광고 △특정 역 전체를 한 가지의 테마로 하는 테마광고 △지하철 1대(8량)를 특정 광고주에게 할당하는 방식 등을 검토 중이다.

이와 함께 부정승차를 차단하기 위해 역 직원을 게이트에 집중 배치하는 등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만으로는 적자 폭을 줄이기에는 역부족이다.

서울지하철 관계자는 “요금 인상도 적자 해소를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전체 승객 중 13~14%가 무임승차인데, 인구 고령화로 이 비율은 더욱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며 “무임승차 제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전체 댓글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