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수북이 담긴 연분홍 母情 가장 한국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진달래의 아스라한 아름다움은 가장 한국적인 정서와 맞닿아 있어요. 어렵고 힘든 시절, 어머니의 무한한 사랑은 진달래꽃 같았고 크나큰 축복이었습니다.”

누런 소쿠리에 수북이 담긴 연분홍빛 진달래꽃이 마치 어린 시절 어머니들이 자식을 위해 퍼 주던 고봉밥 같다. ‘진달래 화가’ 김정수(오른쪽·60)가 인사동 선화랑에서 열리는 개인전에 선보이는 진달래 그림은 그래서 제목이 ‘축복’이다.

서울신문

서울신문

●“한때 파리 유력 화랑 전속작가도 됐지만 역부족”

그의 그림은 단조로운 구도에, 색깔도 단조롭다. 하지만 속이 꽉 찬 듯 볼수록 정겨움이 전해 오고 마음 깊은 곳의 그리움을 일깨워 주는 듯하다. 그가 이런 그림을 그려내기 위해 얼마나 고민하고 애를 썼는지를 들어 보면 왜 그런 느낌을 갖게 되는지 이해가 간다. 김정수 작가는 대학(홍익대 미대)을 졸업하고 1983년 2월 프랑스로 떠날 때까지 입체작업 위주로 해 왔다. 그러다 1984년 파리에서 우연히 조우한 백남준(1931~2006)의 조언에 따라 평면작업을 시작하기로 한다. 하지만 어떤 작품을 해야 할지를 찾지 못했다.

그는 당시를 회상하며 “영주권도 얻고 파리 유력 화랑의 전속작가도 됐지만 외국 작가들과 겨루는 것이 역부족임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고민 끝에 ‘가장 한국적인 것’을 해야 서양인들과 겨룰 수 있고, ‘한국인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고 그때부터 시와 소설, 수필 등 한국 문학 작품을 닥치는 대로 읽었다.

“우리 문인들이 가장 즐겨 노래했던 것이 진달래꽃이었습니다. 진달래꽃에 정과 그리움 등 고유의 정서를 담아야겠다고 생각하고 자료를 다 뒤져 봤는데 진달래를 그린 작가는 없었습니다. 빛을 받으면 반투명이 되는 그런 아스라한 아름다움을 표현하기가 너무 까다로웠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2004년부터 그려… “이 땅의 어머니들을 위한 헌화”

한국으로 돌아와 강원도 산골부터 남쪽의 보길도까지 다 훑으며 그동안 쌓인 외국적 정서를 털어 내고, 좋다는 물감을 다 동원해서 진달래를 그렸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개인전을 위해 그려 놓았던 그림 50점을 칼로 긋고 불태워버리기까지 했다. 몹쓸 병까지 찾아와 모두 다 포기하려 할 즈음, 그는 낡은 기왓장에 떨어진 꽃잎을 발견한다. “바로 그거였습니다. 진한 색의 바탕 위에 여덟 가지 색을 섞어 진달래꽃을 그렸더니 원하는 색이 나왔습니다.” 그는 2004년 개인전에서 자연의 색을 머금은 진달래꽃을 소개하기 시작했다. 이 땅의 어머니들을 위한 헌화였다. 바구니에 담긴 진달래꽃 작품을 비롯해 징검다리 위에 놓인 진달래꽃, 도시의 풍경 위로 떨어지는 진달래 꽃 등 50점을 소개하는 작가는 “지천으로 깔린 진달래를 바구니에 담으며 가족들이 잘되기를 축원했을 어머니들의 모습을 떠올렸다”고 말했다. 전시는 4월 1~14일.

함혜리 선임기자 lotus@seoul.co.kr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