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우주파편 충돌 증가…국가 가이드라인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서울=뉴시스】백영미 기자 = 고장난 인공위성, 버려진 인공위성끼리 충돌해 발생한 조각, 로켓이나 우주왕복선에서 벗겨진 페인트 조각 등 우주 파편(쓰레기)의 충돌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국가 가이드라인 (지침)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5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따르면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발사된 인공위성은 7000여개(우리나라 위성 16개)다. 여기에다 매년 100개 정도의 인공위성이 발사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향후 우주 파편의 충돌 증가가 불가피하다.

문제는 우리나라가 짧은 우주개발 역사에도 위성체, 발사체 기술은 선진국과 비교해 상당한 수준에 올랐지만 우주 파편 충돌 제거 기술개발 등을 촉진할 수 있는 국가 차원의 가이드라인이 없어 우주위험에 적극적으로 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주 파편을 모두 제거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내버려두면 서로 충돌해 더 많은 파편을 양산하거나 일부는 불타지 않고 지구로 떨어져 인류에 피해를 줄 수도 있다. 무게만 400톤 가량에 달하는 우주정거장도 방치되면 거대한 우주 파편 덩어리가 돼 잠재적인 위협으로 작용할 수 있다.

김해동 한국항공우주연구원 IT융합기술팀 팀장은 "지름 10㎝ 이상인 우주 파편의 경우 일정 오차범위 내에서 궤도를 예측하고 접근 여부를 계산할 수 있다"며 "우리나라도 미국, 일본 등 선진국처럼 우주파편 제거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준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해외 우주파편 제거 가이드라인으로는 ▲고도 500~800㎞의 저궤도 위성 25년 이내 대기권에서 불타 소멸하도록 유도 ▲고도 3만6000㎞의 정지궤도 위성 150~300㎞ 고도 상승 후 궤도 바깥인 우주무덤으로 이동 ▲우주파편이나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을 가져오는 시스템 마련 등이 잘 알려져있다.

가이드라인 실행에 필요한 우주파편 제거 기술 개발의 걸림돌로는 경제성이 꼽힌다. 우주개발 선진국들도 우주파편 제거 기술개발에 어려움을 겪고는 있지만 현재까지 고려되고 있는 파편 제거 방법은 로봇위성, 그물, 작대기, 레이저를 이용한 궤도 수정 등 다양하다.

김 팀장은 "기술의 발전으로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우주파편을 제거하는 방법을 찾게되면 관련 기술개발 시장은 급성장할 가능성이 있다"며 "에어버스DS사에서 우주파편 처리기술에 관심을 갖고 시장을 창출하려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김 팀장은 "우주쓰레기를 많이 만들고 있는 국가들이 있지만 지구온난화 문제로 이산화탄소 배출권이 시행된 것과 비슷한 상황이 예견된다"며 "앞으로 10년 이내 우주개발국에 국제적인 가이드라인이 의무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이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ositive100@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