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0 (토)

"클라우드로 국민안전처·인사혁신처 시스템 2주만에 구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우한 센터장 "클라우드와 공개 SW 확대로 예산절감 실현할 것"

[이데일리 김관용 기자] 중앙행정부처의 정보통신기술(ICT) 시스템을 통합 운영하고 있는 정부통합전산센터가 모든 정보자원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하고, 특정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공개소프트웨어(오픈소스)를 적극 도입한다. 각 정부부처에 필요한 만큼 정보자원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센터’로 거듭난다는 계획이다.

이데일리

18일 대전에 위치한 행정자치부 산하 정부통합전산센터에서 만난 김우한 센터장은 “클라우드 적용 가능성을 따져 소프트웨어의 수정이 어렵거나 비용이 과하게 소요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클라우드 기술을 전면 적용할 것”이라며 “2017년까지 운영업무의 60%까지 클라우드 환경으로 전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드는 IT자원에 가상화 소프트웨어 등을 적용해 여러 기관이 함께 쓸 수 있도록 공유하고 필요한 양 만큼만 공급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신속한 자원 제공과 사용정도에 따른 자원량 조절, 프로젝트 실패시 타업무로의 자원용도 전환 등 고가의 IT자원을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김 센터장은 “국민안전처와 인사혁신처 신설로 업무 환경을 위한 새로운 IT시스템이 필요했다”면서 “예전같으면 오랜 시간이 걸렸을 작업이 클라우드 기술 적용으로 2주만에 끝났다”고 소개했다.

지난 2005년 출범한 정부통합전산센터는 현재 대전과 광주 두 개의 독립된 센터에서 청와대와 국가정보원, 국방부를 제외한 43개 부처의 시스템을 통합해 관리하고 있는 전자정부의 ‘심장’이다. 정부통합전산센터가 운영하고 있는 하드웨어는 2만대 이상이며, 소프트웨어도 2만5000본이나 된다.

전자정부 서비스 확대와 데이터의 급증으로 제3센터 건립이 추진되고 있으며, 전자정부 서비스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2019년 4월 완공을 목표로 충남 공주에 백업전용센터도 만들고 있다.

현재 대전과 광주센터에서는 1230여개의 전자정부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는데,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이중 740개 업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지난 2011년 7개 업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현해 보안과 안정성, 33~65%의 비용절감 효과를 확인했다.

김 센터장은 “지난 해 부터 본격적으로 클라우드 기술을 도입하고 있다”면서 “향후 유닉스 운영체제(OS) 기반 서버와 상용 소프트웨어를 범용 장비인 x86 서버와 공개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단계적으로 교체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개소프트웨어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현하는 핵심기술이다. 공개소프트웨어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수정과 재배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로 라이선스 판매가 아니기 때문에 기술지원이나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만 발생할 뿐 기본적으로 무료로 제공된다. 현재 정부통합전산센터는 리눅스 OS와 제이보스, 아파치, 큐브리드 등의 공개소프트웨어를 도입했다. 전자정부 시스템의 근간인 ‘전자정부프레임워크’도 ‘스프링’이라는 공개소프트웨어 기반으로 구현된 것이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네트워크 분야에서도 공개소프트웨어 기반의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도 도입했다. 이 프로젝트는 국내 데이터센터에서 NFV를 상용망에 구축한 최초 사례로 꼽힌다.

김 센터장은 “국산 장비의 도입도 확대해 현재 1000여대 정도 국산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면서 “향후 빅데이터 공개소프트웨어인 ‘하둡’ 등을 확대 도입하고 클라우드 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예산절감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