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美 통화정책 변화에 벌벌 떠는 신흥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은 해외경제 포커스

미 장·단기 금리격차 1%p↑, 세계 성장률 0.2%p↓

"신흥국, 자본유출·금리 인상에 경기위축될 수도"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에 따라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전망이다. 특히 신흥국들은 미국의 눈치를 살피며 벌벌 떨고 있는 신세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빨라질 경우 급격한 자본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상황과 관계없이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해 실물 경기가 더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

한국은행은 해외경제 포커스의 ‘향후 세계 경제의 주요 리스크 평가’란 보고서에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금리가 시장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인상되거나 이에 따라 금융시장 참가자들의 기대가 크게 변경될 경우 시장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전 세계 금융자산가격이 크게 하락할 소지가 있다”고 25일 밝혔다.

미국은 다음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양적완화(QE)를 축소한 후 내년 중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이란 추측이 많다. 이러한 통화정책 정상화로 인해 시장금리가 빠르게 상승하거나 달러화 조달비용이 오를 경우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서 실물 경기 또한 불안해질 것이란 분석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이 7월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장단기 금리 격차가 1%포인트 오를 경우 세계 경제성장률이 0.2%포인트 하락했다.

한은은 “신흥국 투자펀드들의 경우 선진국에 비해 쏠림현상이 나타나기 쉬운 구조”라며 “충격이 발생할 경우 급격한 자금유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글로벌 위기 이후 신흥국 기업들의 해외자금 조달이 크게 증가한 데다 전 세계 은행의 해외대출 중 달러화 비중이 60% 수준(1분기 63.1%)으로 의존도가 높다”며 “달러화 조달 비용 상승은 국제자금조달의 불확실성 증대, 기업 재무구조 악화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주요 신흥국 기업들의 해외채권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규모는 2009~2012년중 3750억달러로 2005~2008년보다 2배 이상 증가했다.

한은은 “연준의 통화정책 변화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 일부 신흥국들은 자국 통화가치의 하락 방지 등을 위해 경기 상황과 관계없이 정책금리를 인상하게 되고, 이는 경기위축과 글로벌 교역 축소 등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실제로 지난 해 벤 버냉키 당시 연준 의장이 양적완화를 축소할 것을 시사한 후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 터키 등 취약한 신흥국들에선 자본유출, 통화가치 하락 등이 발생해 실물경기가 나빠졌음에도 어쩔 수 없이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했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