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4 (수)

명(明)보다 암(暗) 많았던 박영선…씁쓸한 퇴진

댓글 4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제1야당 첫 여성 원내대표 기대 불구 리더십 문제 등 '타격'

정치적 '부활' 순탄치 않을 듯…세월호법 타결은 의미 커

【서울=뉴시스】배민욱 기자 = "책임이란 단어에 묶여 소신도 체면도 자존심도 다 버리고 걸어온 힘든 시간이었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가 2일 자진사퇴를 선택하며 제1 원내지휘봉을 내려놓았다.

지난 5월8일 원내대표직에 오른지 147일만이자 지난달 17일 탈당 파동 끝에 비대위원장직을 그만두고 당무에 복귀한 시점으로 따져서 15일만이다.

박 원내대표는 제1야당의 첫 여성 원내대표라는 타이틀로 주목받으며 화려하게 등장했지만 5개월만에 스스로 평의원의 길을 선택했다.

박 원내대표는 세월호특별법이라는 길고 어두운 터널 속에 갇혀 자신이 구상한 제1야당의 정치 설계도를 제대로 펼쳐 보지도 못한채 씁쓸한 퇴장을 한 셈이다.

새정치연합 내에서는 박 원내대표에 대한 기대감이 상당했다.

지난 1년간 원내지도부가 국가정보원 특검 등 주요 현안을 주도하지 못한 점을 들어 의원들 상당수가 박근혜 정부와 여당에 맞설 수 있는 강단있는 원내대표를 원했고 그렇게 선택받은 사람이 바로 박영선이었다.

여기에 7·30 재보궐선거 참패로 흔들리는 당을 재건하고 혁신할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추대되는 등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착실히 다지고 있었다.

그러나 박 원내대표의 명(明)은 여기까지였다. 비상대권을 이어받은 순간부터 박 원내대표의 가시밭길이 시작됐다. 명(明)은 사라졌고 암(暗)만이 존재했다.

그 시작은 세월호특별법 합의과정이었다.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와 두차례의 합의안을 도출했지만 세월호유가족과 당내 반발로 박 원내대표의 입지는 작아졌다.

특히 이상돈 중앙대 명예교수의 비대위원장 영입 무산 파동 등을 거치며 당은 극심한 내홍을 겪고 혼돈 상태에 빠져들었다. 독단적 리더십이 큰 반발을 몰고온 것이다.

이같은 일련의 사태로 박 원내대표의 리더십과 당 장악력은 나락으로 떨어졌다. 더이상 회복불능의 상태까지 도달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을 지지해준 강경파 그룹 등이 등을 돌리며 사면초가에 처했다.

박 원내대표는 비대위원장 영입 무산 파동 와중에 당 강경파를 중심으로 사퇴 주장이 거세지자 '탈당 검토'라는 승부수를 꺼내들었다. 하지만 극단적인 승부수 카드는 '세월호 협상 수습 때까지'를 기한으로 정한 '시한부 원내대표'라는 결과만을 안겨줬다.

박 원내대표는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다지기는커녕 사실상 불명예 퇴진으로 정치인생의 최대 위기를 맞았다. '부드러운 직선'을 표방하며 대표적인 대여 저격수라는 강성 이미지를 벗고 '탈(脫) 투쟁정당'이라는 합리적 중도 노선으로의 변신이 오히려 독이 돼 버렸다.

박 원내대표는 당분간 시련의 시기를 보낸 뒤 재기를 노릴 것으로 보이지만 전망은 그리 밝아 보이지 않다. '원내수장'으로서 적잖은 한계를 드러냈고 운신의 폭도 극도로 좁아진 상황이라 정치적 부활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라는게 이유다.

다만 박 원내대표가 그동안 당내 큰 논란에도 불구하고 세월호법 문제를 지난 30일 새누리당과 최종 타결지은 것은 상당한 성과라 할 수 있다.

비록 유가족들이 이 합의안에 반발하고 있으나 여당의 양보를 이끌어내고 당내 반발도 진정시켜 국회 정상화를 이뤄내는 정치력을 발휘한 점은 향후 그에 대한 평가에서 중요하고 긍정적인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mkbae@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