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1 (일)

새정치 각 계파 대표들 전면에 나서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현실적 선택” “나눠먹기” 반응 갈려

김한길·안철수는 참여 고사


21일 발표된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회의 면면은 사실상 ‘계파 수장 연석회의’에 가깝다. 2012년 대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물러났던 당 주류들이 전면 복귀한 구도다. 당헌상 당연직 최고위원인 박영선 원내대표를 제외한 문재인, 박지원, 인재근, 정세균(가나다순) 의원은 차기 당권 도전이 유력하거나 당의 주요 계파를 대표하는 인사들이기 때문이다. 당내에선 “위기 상황의 당을 수습하기 위한 현실주의적 선택”이란 반응과, “계파 구도에 영합한 지도부 나눠먹기”라는 견해가 엇갈렸다.

계파 수장과 당권 주자들로 비대위를 꾸린 문희상 위원장의 선택은 ‘고육책’ 성격이 짙어 보인다. 당을 사실상 움직여온 주요 계파 수장들에게 당 운영의 책임을 나눠 지게 하지 않고선, 당대표 탈당설과 분당설까지 나돌 정도로 현재의 심각해진 당의 위기를 극복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문재인 의원은 당의 ‘최대 주주’인 친노 그룹의 좌장이면서 당권 도전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다. 두 차례 당대표를 지낸 정세균 의원은 ‘범친노’에서 독립해 독자 계보를 운영하며 일찍부터 전당대회 출마를 준비해 왔다. 인재근 의원은 고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 쪽 계파인 ‘민주평화국민연대’(민평련) 몫이라는 게 지배적 해석이다. 인재근 의원은 고 김근태 의장의 부인이다. 민평련 쪽은 이상돈 비대위원장 파동을 수습하기 위해 박영선 당시 비대위원장이 문재인·정세균·박지원·김한길·문희상 의원을 불러 ‘중진 대책회의’를 연 사실이 알려진 뒤, 자기쪽 대표를 배제했다며 강하게 반발했었다.

당 위기의 원인이 된 계파 정치 구도의 현실에서 각 계파의 수장들이 솔직히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내년 전당대회를 앞두고 지역위원장을 선임하고 전당대회 룰을 정하기 위해선 계파 이익을 대변하는 대리인들을 불러 이견을 조정해야 하니, 아예 당사자들이 직접 협상하고 정하게 만들었다고 볼 수 있다. ‘박영선 파동’을 거치며 당내 일각에서 “권력을 지닌 ‘대주주들’이 전면에 나서지 않으면 지도부의 어떤 결정도 집행력을 갖기 힘들다”며 ‘대주주 등판론’이 제기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유가 어떻든 ‘선수가 직접 나서 규칙을 정하는 격’이다.

한편, 비대위원 선임권을 가진 문희상 위원장은 애초 김한길·안철수 전 대표에게도 참여를 권유했으나 ‘당의 현 상황에 책임이 있는 직전 지도부가 비대위에 참여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두 사람 모두 고사하는 바람에 성사되지 못했다. 정동영 상임고문 등을 참여시키는 방안도 고민했지만, 일부 비대위원 후보들의 반대로 뜻을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 고문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비대위 구성과 관련해 당으로부터 어떤 제안이나 설명도 듣지 못했다. 희한한 구성이다”라며 불쾌감을 표시했다.

당 안팎에선 2012년 대선 패배 책임을 지고 물러났던 당의 주류들이 ‘계파 연합 비대위’를 통해 1년 반 만에 당의 권력 중심으로 복귀했다는 점에서 적절치 않다는 반응도 나온다. 일각에선 2012년 대선 직전 친노 좌장이었던 이해찬 의원과 호남권 대표주자를 자처하던 박지원 의원이 물밑 협상을 통해 당대표와 원내대표직을 주고받았던 ‘이-박 담합’과 같은 모습이 재연될 수도 있다는 지적도 있다. 수도권의 한 재선의원은 “당의 근본적 혁신이 필요한 시기에 주요 계파 수장들이 이견을 적당히 조절하고 갈등을 미봉하려는 듯하다. 원외 등 소외된 세력에 대해선 추가 선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박 대통령의 강공 선회, 그 내막은? [정치토크 돌직구]

공식 SNS [통하니] [트위터] [미투데이] | 구독신청 [한겨레신문] [한겨레21]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