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금)

증시 달군 '최경환 효과'…"2100열려도 신중론" 경계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2014.7.30/뉴스1


코스피가 '최경환 신임 경제부총리 효과'를 타고 3년만에 박스권을 탈출했지만 지나친 기대는 금물이라는 경계의 목소리가 조심스럽게 나온다.

새 경제팀의 경기 부양책은 선보인 즉시 시장의 환호를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는 일단 합격점이다.

증권가에는 최 부총리가 현재의 경제 상황을 정확하게 인지하고 강력한 부양 의지를 거듭 내비친 만큼 이번 상승장은 여느때와 분명 다르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최 부총리 등판 후 코스피는 꽤 일관적인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다. 30일 코스피는 전날의 여세를 몰아 또 다시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장중 2090선을 찍으면서 멀게만 느껴지던 2100 턱밑까지 올라서기도 했다.

이제 관건은 새 경제팀의 처방전이 높아진 기대치를 충족시킬 수 있을지에 달렸다. 일단 불을 지피는 데는 성공했지만 실제 경기 개선 여부는 지켜봐야 할 문제라고 일부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김용구 삼성증권 연구원은 "시장의 판이 바뀌었다는 점에서 2100선까지 열어두는 것이 합당할 수 있다"면서도 "한걸음에 상방으로 내달리기 보다는 제반 여건 확인과 검증 과정이 전개될 공산이 커 여전히 신중함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최 부총리의 부양책은 △ 41조원 규모의 확대재정 운용 △ 가계소득 증대 세제 △ 부동산시장 활성화 등을 골자로 한다. 기업중심 일변도의 정책에서 가계 살리기로 초점을 옮겨왔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다만 확대편성된 재정의 경우 대부분이 주택구입 유도와 신용보증 등 금융지원 성격을 띄고 있어 직접적인 취약계층 지원책으로서는 다소 부족한 감이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근로소득·배당소득 증대 세제, 기업소득 환류세제 등 가계소득 증대 패키지를 덧대었지만 이는 기업의 호응 여부와 구체적 실행 계획이 불분명하다는 한계도 지적된다. 배당과 임금인상은 결국 기업 경영진의 자율적인 결정에 달린 사안이기 때문에 실효성을 예단하기가 쉽지 않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조절을 통한 부동산 시장 활성화 정책도 실효성은 두고봐야 할 부분이다. 가계 소득 규모가 이미 상당히 위축된 상황이라 빚을 내면서까지 집을 장만하려는 가구가 얼마나 될지는 미지수다.

이경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증시 영향 측면에서는 일부 업종의 투자심리 개선에 도움을 주는 점을 부인할 수 없다"면서도 "부동산 경기 개선이 경기와 증시 전반에 온기를 불어넣는 데는 상당한 시차를 감안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종수 토러스투자증권 연구원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는 내수기반 구축을 기대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판단"이라며 "내수 구조 개혁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기득권의 양보와 배려에 기반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제 막 경기부양 시동이 걸린 만큼 4분기부터 서서히 드러날 정책 실효성을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초기 부양효과를 살핀 뒤 내년 예산안 확대편성 등 차후책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금리정책 공조로 최경환호에 힘을 실어줄지에 대해서도 이목이 쏠린다. 시장은 이주열 한은 총재의 경기인식과 최근 국고채 금리의 하락추세를 볼 때 다음달 금리 인하를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수출과 투자지표가 점진적인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금리 동결이 지속될 것이라는 시각도 상존한다.

김두언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최 부총리의 경제대책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향후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라는 점"이라며 "경제는 심리라는 연장선상에서 보면 하반기 우호적인 분위기 조성은 성공"이라고 강조했다.

(서울=뉴스1)이지예 기자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