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29 (금)

<'마천루의 저주'…런던 명물 거킨 빌딩 매물로>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류창석 기자 = 영국 출신의 세계적인 건축가 노먼 포스터가 설계한 런던의 랜드마크 건물인 '거킨'이 매물로 나오면서 마천루의 저주가 반복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 건물의 소유주 가운데 한 기업이 파산하면서 지난 4월 법정관리에 들어간 이 건물의 매각가는 6억4천만 파운드(약 1조 1천억원)로 추정되고 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30일 이 건물이 경매에 부쳐진 것은 초고층 빌딩 건설과 불황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지표인 '마천루 지수'(Skyscraper Index)의 최근 사례라고 지적하면서 과거 사례들을 소개했다.

기업들이 경기가 좋을 때 앞을 내다보지 못하고 무리하게 초고층 빌딩 건설에 열을 올리다 불황과 함께 휘청거린 사례 등을 보여주는 이 지표를 일부에서는 '마천루의 저주'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미국 뉴욕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에서 찾을 수 있다.

1930년대 초부터 70년대 중반까지 세계 최고층 빌딩이라는 타이틀을 자랑했던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은 완공 후 대공황을 맞았다.

이 건물은 임차인을 찾지 못하는 바람에 공간 대부분이 텅빈 상태로 남아 있던 탓에 '엠프티(텅빈) 스테이트 빌딩'이란 별명이 붙을 지경이었다.

세계무역센터와 1970년대의 불황,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 타워와 아시아 외환위기, 두바이 경제위기와 부르즈 칼리파 등도 같은 사례다.

영국의 건축가 리처드 세이퍼트가 설계한 런던의 센터 포인트 건물은 한때 부동산 투기의 잔인성과 무책임을 상징하는 사례이기도 하다.

지금은 문화재로 지정돼 영국 산업연맹이 본부로 사용하고 있지만 부동산개발업자 해리 하이엄스는 70년대까지 이 건물을 임대하지 않고 텅빈 상태로 놔두는 것이 더 채산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그 결과 일부 노숙자 지원 단체원들이 한때 이 건물을 점거하면서 이 건물과 같은 이름의 노숙자 자선단체를 탄생시키기도 했다.

각국의 경제가 갑자기 붕괴하면서 완공되지 못하고 황량하게 남겨진 건물들도 있다.

폴란드 쿠라쿠프 시내 최고층 빌딩인 스켈레터는 폴란드 기술자협회연맹을 위해 1975년 착공했지만 1981년 공사가 중단되면서 이제는 텅빈 철골조만 남아 광고판 지지대로 사용되고 있다.

북한 평양의 류경호텔 역시 옛 소련 붕괴 후 북한이 대기근사태에 처하면서 방치됐다가 결국 27년 만에 공사가 재개됐다.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에 위치한 '다비드 타워' 건물 역시 1990년대 닥친 금융위기로 건축이 중단되면서 방치됐으나 빈민층들이 무단 거주하면서 '세계 최고층 슬럼가'를 형성했었다.

이 건물이 중국 개발업체에 매각되면서 이곳에 거주하던 빈민들은 최근에 모두 다른 곳으로 쫓겨났다.

kerbero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