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한국 기술력으로…동서양 잇는 해저터널 뚫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K건설, 터키 보스포루스 해협 관통 굴진 공사 착수

터키 이스탄불을 여행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보스포루스 대교의 악명 높은 교통체증을 경험했을 것이다. 이스탄불은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인 보스포루스 해협을 사이에 두고 서쪽 유럽 지역에 기업과 사무공간이, 동쪽 아시아 지역에 주택가가 밀집해 있다.

아시아에서 유럽으로 출근하고 유럽에서 아시아로 퇴근하는 이스탄불 인구 1300만명의 교통량 60%가 2개의 보스포루스 대교로 몰린다. 터키 정부가 카페리, 중앙차선 메트로 버스, 철도 등의 다양한 교통수단을 신설해 운영해봤지만 교통난은 좀체 해소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2017년부터는 이스탄불의 교통체증이 한결 덜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국 건설사의 기술력으로 유럽과 아시아를 관통하는 초대형 해저터널이 건설되기 때문이다.

SK건설은 유라시아 터널 ‘굴진(掘進)’을 시작했다고 21일 밝혔다. 보스포루스 해협을 관통하는 총연장 5.4㎞짜리 복층 해저터널 건설이 본격화한 것이다.

세계일보

서석재 SK건설 전무(오른쪽 첫번째)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총리(〃두번째)가 19일 터키 유라시아 해저터널 공사장에서 굴착식이 끝나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SK건설 제공


이 사업은 국내 건설사가 수행하는 최초의 해외 해저터널 공사다. SK건설은 일본과 프랑스 등 주로 선진국만 시공 경험이 있는 TBM(터널굴착기) 해저터널 사업에 국내 기업으로는 처음으로 진출했다. 한국 건설의 새로운 역사를 쓰게 됐다는 평가다.

TBM 공법은 추진체로부터 동력을 얻은 커터 헤드가 암반을 부수며 굴착 작업을 벌이는 것과 동시에 미리 생산된 세그먼트라는 콘크리트 구조물 벽체를 터널 내벽에 설치해 나가는 방식이다.

이번에 투입된 TBM은 아파트 5층 높이와 맞먹는 직경 13.7m, 총 길이 120m, 무게 3300t에 달한다. TBM 단면으로만 따지면 세계 6번째 크기다. 이 장비로 SK건설은 해협 하부를 통과하는 3.34㎞를 하루 평균 7m씩 480여일간 굴착할 예정이다.

세계일보

19일(현지시간) 터키 이스탄불 유라시아 해저터널 건설 현장에서 SK건설의 TBM(터널굴착기)이 첫 굴진을 하고 있다. TBM 위에는 터키어로 ‘무재해 준공을 기원합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SK건설 제공


대륙을 연결하는 복층 해저터널도 세계 최초다. 유명한 말레이시아의 스마트터널과 프랑스의 A86 터널은 모두 육상 복층터널이다. 유라시아 터널은 수면 아래 구간에서 위층과 아래층으로 분리돼 각각 아시아, 유럽 방향으로 가는 차량이 이용한다. 육지 구간에선 터널이 다시 쌍굴 형태로 갈라져 각각의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터널을 이용하면 해협 통과시간은 기존 100분에서 15분으로 대폭 줄어든다.

SK건설은 프로젝트 발굴에서 운영까지 전 과정을 떠맡는 건설·운영·양도(BOT) 방식으로 이 공사를 수주했다. BOT 방식은 민간이 직접 시설을 건설하고 일정기간 운영해 수익을 회수한 뒤 정부에 소유권을 넘기는 시스템이다.

세계일보

해저터널 복층 단면도.


이에 따라 2017년 4월 터널이 개통되면 SK건설은 26년2개월 동안 직접 터널을 운영한다. SK건설 측은 개통 뒤 예상대로 하루 13만대의 차량이 이용하게 되면 투자 사업시 기대되는 예상 수익률인 내부수익률(IRR)이 19%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유라시아 해저터널 프로젝트는 총 사업비 12억4000만달러(약 1조2900억원)가 투입된 터키의 초대형 국책사업이다. 자신의 퇴진을 요구하는 반정부 시위 등으로 정신이 없는 와중에도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총리가 수도 앙카라를 비우고 19일 현지에서 열린 굴착식에 직접 참석한 이유다. 이진무 SK건설 유라시아터널 현장소장은 “초대형 TBM이 투입된 공사여서 한순간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며 “동양과 서양을 잇는 최초의 해저터널이라는 의미가 큰 공사인 만큼 반드시 공기 내에 준공하겠다”고 말했다.

나기천 기자 na@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