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19 (금)

‘사물 인터넷 시대’ 해킹 피해도 커질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마트폰·집안CCTV도 표적… 사생활 무방비 노출 우려 높아

업계 “국가적 컨트롤타워 필요”

#1. 서울 상암동에 사는 주부 B씨는 얼마 전 동호회 동료와 수영하면서 찍은 사진이 인터넷에 나돌아 기겁했다. 스마트폰 카메라로 찍어 혼자 간직했는데 유출된 것이다. 사이버수사대에 신고한 결과 사진 저장용으로 이용하려고 가입했던 포털 사이트의 클라우드 계정이 해킹당했다는 수사 결과를 전해들었다. 누군가 해킹을 통해 은밀한 사생활을 담은 사진을 모조리 훔쳐봤다는 생각에 B씨는 지금도 등골이 오싹하다.

#20, 30대 직장인 A씨는 얼마 전까지 스마트폰으로 자동차 시동을 걸고, 스마트 TV를 보다 맘에 드는 물건은 바로 주문하는 ‘스마트’한 생활을 누렸다. 그러나 그는 최근 이런 편리한 일상을 포기했다. 누군가 스마트폰에 탑재된 내비게이션과 연계된 집 폐쇄회로(CC)TV까지 해킹해 오랫동안 사생활을 감시했다는 사실을 업체를 통해 알게 됐기 때문이다.

이는 있을 법한 일이 아니라 최근 실제 일어난 사례다. 주변의 모든 사물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사물 인터넷 시대가 도래하면서 개인정보 유출이 급증하고 있다. 사물과 인터넷 간 융합이 더욱 긴밀해지고, 해킹 대상이 사이버 공간에서 생활에 직접 연관된 기기로 확산되면서 영화 ‘다이하드 4’처럼 해킹을 통해 교통·전력망을 마비시켜 국가 일부 또는 전체가 혼란에 빠질 우려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21일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융합보안 피해는 국내총생산(GDP)의 1% 규모로 추정된다. 2015년 13조4000억원에서 2020년 17조7000억원, 2030년 26조7000억원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직접적인 피해액만 따진 수준으로 국가 신용도 하락, 2차 산업 피해 등 후폭풍까지 고려하면 더 크다는 게 연구원 측 분석이다.

조사 결과 스마트 카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해 국산 자동차의 수요가 10% 줄면 연간 24조원 이상의 경제적 손실이 발생한다. 스마트폰의 경우 피해액은 약 16조원으로 추정됐다. 금융기관 해킹으로 금융산업에서 1%의 지장을 받으면 금융산업 자체에 1조7000억원, 전 산업에는 6000억원 이상 손실이 예상된다. 통신·교통·전력망 등 국가 기간시설에서 보안사고가 발생해도 대규모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망에서 1%의 작동불가 상태가 발생하면 전 산업에 1조4000억원 규모의 생산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연구원 측은 추정했다.

업계에서는 정보보안 관리·감독체계가 부처별로 분산돼 국가적인 사고 발생에 따른 정책 혼선 우려가 큰 만큼 통합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황원식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도 “국가 차원의 복합적인 보안사고에 대비해 대응기관을 하나로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계식 기자 cult@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